해체적 작품공간의 구조 분석을 위한 다이내믹 시미트리와 모듈 개념의 적용 및 그 해석

Interpretation Applied Dynamic Symmetry and Module for the Structure Analysis in Art-Work Space

  • 발행 : 2000.08.01

초록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 포스트 모더니즘 예술가들의 작품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해체적 방식의 공간개념 고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술가들의 세계관 변화에 따른 20세기 후기 시대 포스트모더니즘 시각예술 작품에 나타난 복잡계(complex System)의 특성들을 20세기 전기 시대 모더니즘 시각예술 작품에 나타난 단순계(simple System)의 특성들과 비교하여, 그 특성들이 작품형식의 특징을 이루어 주는 구성체계와 어떤 상관관계를 맺으며 조형적 체계화의 변수를 갖게 되는가에 대한 탐구이다. 따라서 그 구성체계들과 변수에 대한 이론적 접근방법으로서는 예술작업에서 기본적 형태 구성 방법으로 사용되는 질서체계의 의미 즉, 모듈(module) 개념을 르 꼬르뷔제(Le Corbusier)의 이론을 통하여 살펴보고, 예술작업에서의 형태구조를 랭거(Suzanne langer)의 형태론 연구에서 정의된 '생명체의 법칙(the law of living form) 즉, '유기체의 원리(the principles of organization)'로 볼 수 있을 때, 인체나 자연 생태계의 성장구조에서 나타나는 유기체적 구조라고 보며, 모듈의 법칙을 지배하는 원리를 햄비지(Jay Hambidge)가 주장하는 다이내믹 시미트리(dynamic symmetry)로서 작품 공간을 산술분석 하였다. 이로써 20세기 전기 시대와 후기 시대의 시각예술 작품에서 나타난 양식의 특성들을 제시작품을 통하여 그 내용면과 형식면에서 차이를 비교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20세기 후기 포스트 모더니즘 시각예술 작품에서 나타나는 복잡계의 특성들이 새로운 조형적 체제화의 변수에 작용하는 원리를 다음과 같이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 첫째, 작품공간에서의 모듈은 다이내믹 시미트리로부터 만들어지고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모듈은 다이내믹 시미트리의 필요충분 조건인 만족스럽고(acceptable), 효율적이며(effcient), 융통적이고(flexible), 적응력이 뛰어난(adaptable) 인간적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셋째, 다이내믹 시미트리는 역(逆, reciprocity)의 원리와 보상(補賞, complement)의 원리를 제 1의 구성원리로 하며 공간에서 서로에 대한 역과 공통성(common property)을 갖고 자기유사를 지닐 때 연속체(continuum)를 손상하지 않고 전체공간을 유기체적으로 분절한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space concept of the constructive mode in the work space of the postmodernism artists since 1970s. According to the changing view of the world artists, they are search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having the parameter of formative organization on how they are related to the constructive system which represents the work styles. First, this study searches for the theoretical approaches of the constructive system and parameters that were studied by Le Corbusier - the module concept as the meaning of order system being used for the basic formative construction Second, when it is regarded as a formative construction in making art as the'principles of organization'(the law of living form), which was defined by Suzanne Langer in the formative theory as the organized structure shown in growth structure in mu and ecological system, the principles governing the module rules were arthmetically analysed art-work space through the dynamic symmetry of Jay Hambidge.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e principles working on the parameters for new formative organization as follows: First, the module in the work space should be designed and built from the dynamic symmetry. Second, the module should satisfy the human needs that it must be acceptable, efficient, flexible, which are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dynamic symmetry. Third, the dynamic symmetry which has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and the principle of Complement as its primary construction principle has the common properties and the reciprocity in the construction of the work space and when it has the self similarity, it segments organically the total space without damaging the continuu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