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and stability of plant extract ingredient as uv absorber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식물추출성분의 안정성과 효과

  • 김경동 (나드리 화장품 기술연구소) ;
  • 이용두 (나드리 화장품 기술연구소) ;
  • 박성순 (나드리 화장품 기술연구소) ;
  • 윤성화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
  • 이석현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Recently the harmfulness of W radiation is in creasing due to encironmental pollution. Environmental population may also play a role in global decrease of ozone layer, A major consequence of ozone depletion is increase in solar ultra violet radiation received at the earth's surface excessive exposure to W radiation cause a lot of problems in our skin. Plant extract that possess antioxidative activities has been reported to retard the oxidation process in product to which they have been added. Plant are alived under solar light. So it is expect the plants have so many protection mechanisms and UV absorbent ingredients against ultra violet radiation such as UVB, UVA. Plant extract which were flavonoids, alkaloids and others could be transformed into UV absorber by chemical modification. Therefore with the aim of finding alternative natural absorber that can safely be used in cosmetic, we have screened various extract for their UV absorbent effect. Thus, the cosmetic safety against human skin, antimicrobial effects and others could be improved by using the silicon.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지구오존층의 파괴로 자외선의 지표면의 도달 량이 증가하고 그로 인한 인간에 대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 과도한 자외선의 피부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은 피부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일차적으로 자외선차단제를 이용하여 인체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를 최소화 해야한다 . 현재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자외선흡수제와 무기자외선산란제가 많이 사용이 되는데 적은량으로도 효과가 높은 유기자외선차단제는 사용 시 주의를 요하므로 국가별로 사용량과 사용여부에 대하여 규제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류 ,알카로이드류 같은 자외선 흡수 성분을 함유한 식물중 UV/vis spectrophotometer 에서 자외선 흡수 peak을 나타내는 금은화 , 포공영, 녹차 , 황금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의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사용가능성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식물추출물이 가진 자극성 성분과 오염성, 그들이 가진 유효성분들을 보호하고자 실리콘을 이용한 겔화를 시도하였다 . 자연친화적인 천연물로써 식물추출성분을 이용 유기자외선흡수제의 사용량을 줄이는 자외선홉수보조제로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피부과학(개정판) 대한피부과학회
  2. The skin cancer foundation Journal Robin, Perry
  3. Sunscreen Shaath, Nadin A.(et al.)
  4. New aesthetic Approach To the skin 윤여성
  5. Fragrance Journal v.19 no.9 Uchida, Atsushi
  6. Preventive treatment of sunbun dermato heliosis and skin cancer with sun protective agent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4th ed.) Pathak, M.A.;Fitzpatrick, T.B.
  7. 광의학개론 윤재일
  8. 피부면역학 은희철
  9. Fragrance Journal v.3 UVA-induced Cellular response and Skin Damage Lchihashi, Masamitsu
  10. 대한피부과학학회지 v.39 no.6 한국인에서 일광노출의 유해성에 대한 인지도와 일광차단제이용 형태에 대한 연구 윤재일(외)
  11. 대한화장품 학회지 v.24 no.2 화장품연구의 현재와 미래 이옥섭
  12. 약사관련 법규집 채동규
  13. 신화장품학 박성순;권경옥;권영두;김상진;김주덕;이화순(공역)
  14. Cosmetic & Toiletries v.107 Jackson, Edward M.
  15. Skin Aging and Antioxdants 박수남
  16. 理化學大辭典 全學濟(외)
  17. Free Radical Damage and its control Utravolet radiation(UVA, UVB) and skin antioxidiant Packer, L.;Rica-Evans, C.A.;Burdon, R.H.(eds.)
  18. Oxidative stress and Aging Packer, L;Culter, R.G.;Packer, L.;Bertram, J.;Mori, A.(eds.)
  19. photochem photobiol v.B14 skin photosensitizing agent ant the role of Oxygen species in photoaging Dalle-Carbonare, M.;Pathak, M.A.
  20. Fragrance Journal v.3 Protection against UV-A with plant Extract Kojima, Hiroyuki
  21. Spectro metric idenfication of Organic compound(5th ed.) Silverstein, R.M.;Bassler, G.C.;Morrill, Terence C.
  22. Oxygen radicals stimulate intracellular proteolysis and lipid peroxidation by independent mechanisms in erythrocyte Davies, K.J.A.;Gold Berg, A.L.
  23. Fragrance Journal v.3 Research and Development of UVA absorber Takono, Shinichi
  24.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안덕균
  25. Korean Resources Plant 김태정
  26. 동의보감(국역판) 허준(저);金永勳(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