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갈나무림의 Gap 내 재생과정

Regeneration Process in Gap of Quercus mongolica Forest

  • 강상준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
  • 최철수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 발행 : 2000.02.01

초록

충북 제천시 소재 월악산 문수봉의 신갈나무림에서 gap연령이 다른 3개 지소와 성숙림인 1개 지소로 나누어 gap내 신갈나무의 재생과정을 밝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식생조성은 gap형성 초기 에 관목층에서는 조록싸리, 물푸레나무, 미역줄나무, 신갈나무, 국수나무 등의 우점도가 높았다 특히, 관목층 전체를 볼때 gap형성 초기에는 개체수가 상당히 많으나 gap 연령이 증가할 수록 교목층을 형성 할 수 있는 신갈나무와 물푸레나무 등의 기저면적의 증가에 의한 피음으로 관목층의 개체수는 감소하였다. gap내에는 어린 개체가 많고 점차 감소하는 역 J자형의 분포를 나타내고 gap 연령이 증가하면서 gap내에서 급속한 성장으로 교목층을 형성하는 신갈나무의 피음에 의해 부분적으로 고사된 개체가 나타나는 것 을 볼 수 있.었다. 성숙림 에서는 어린 개체가 거의 없었으나 수령이 130년 이상인 개체가 주로 나타났고 이 들 중 한개 또는 그 이상의 개체가 어떤 교란요인에 의해서 Gap이 형성되면 이곳에 어린개체가 침입되어 재생이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신갈나무림은 gap형성 후 gap 내에 침입한 신갈나무가 교목층을 형성하는 연령인 약 35∼40년 이후 부터 수령이 130∼330년 되는 성숙림까지 다른 신갈나무 유묘의 침입은 없지만 다른 수종으로 대치되는 것이 아니라 성숙림의 gap형성에 의해 불연속적인 재생으로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attern of gap regeneration and vegetational changes were carried out in gaps with different ages and in an intact forest in a Quercus mongolica (mongolian oak) stand located at Munsubong of Mt. Worak. In the early stage of gap formation, Lespedeza maximowiczii, Fraxinus rhynchophylla, Tripterygium regelii, Quercus mongolica, and Stephanadra incisa were dominants in shrub layers. The numbers of shrubs with smaller diameters at ground surface were abundant in the early stage of gap formation. On the other hand, as gap age increased,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Quercus mongolica and Fraxinus rhynchophylla forming tall tree layer decreased. However the diameter at ground surface of Quercus mongolica and Fraxinus rhynchophylla increased. There were few young Quercus mongolica, but those over 130 years old appeared in mature Quercus mongolica stands. The last regeneration episode ended about 130 years ago and the new one started 40 years ago in this study site. Considering the presence of Quercus mongolica below 40 years old in gap and the absence of Quercus mongolica from 40 to 130 years old in closed stand, it is concluded that Quercus mongilica forest is maintained by discontinued regener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