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제조업의 성장과 공간적 발달

Spatial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Chonbuk Province,1975~1999

  • 백영기 (전북대학교 사회교육학부) ;
  • 김진석 (전북대학교 사회교육학부)
  • 발행 : 2000.12.01

초록

전북의 제조업은 낮은 수준에도 불구하고 지난 20여년 동안 꾸준히 발달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이 지역의 중심산업 이었던 노동집약형 업종들의 중요도가 점차로 감소하고 자동차, 화학제품, 통신장비, 기타기계 등 새로운 업종들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높아지고 있다. 업종별 다양성의 증가를 동반하는 이러한 구조적 변화의 특성은 국가의 산업구조조정 정책 방향과 일치하고 있으나 아직은 구조 전환의 속도가 느려 결국 수준에 미치고 못하고 있다. 특히 자본집약형의 비중이 아직도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첨단기술산업의 발달은 미약한 실정이다. 구조적 변화와 더불어 전북 제조업의 공간적 구조도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지역의 중심 도시인 전주, 익산, 군산 지역이 전북제조업을 여전히 주도하고 있지만, 이 중심지역 내에서 제조업 이심화가 분명히 나타나고 있으며, 중심에 인접한 김제와 정읍 지역에 새로운 외부투자가 증가하여 분산화 현상도 보여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전북의 제조업 공간구조는 지역 내에서도 격차가 극히 심하여 중심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제조업 발달은 극히 부진한 실정이다.

Manufacturing industry in Chonbuk region has experienced relatively consistent increase during period 1975-1999. The importance of labor-intensive sectors such as textiles and clothing, wood and furniture, and food and drink, which had been traditionally major sectors in this region, has declined over the same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shares of more complex sectors like automobile, chemistry, communication equipment, and other machinery have gone up. The structural change of Chonbuk manufacturing industry, with increasing diversity, follows the national trend of industrial development, based on national industrial policies. but the speed and level of the change has been slow and low in terms of the national standard of manufacturing development, especially with the weak development of high technology industry. In Chonbuk,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has shown a high degree of concentration. Although spatial concentration is apparent in the central area including the cities of Chonju, Iksan, and Kunsan, new tendency towards industrial decentralization within this area has been found. The tendency means manufacturing development at the fringe of this area. There is another tendency towards industrial dispersion into the cities of Kimje and Jeongup close to this central area. The spatial dispers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has been accelerated in the form of increasing external investment. But despite the tendency of the spatial dispersion,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rest of the region still remains a marked inferior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