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nding Crops of Freshwater Phytoplankton in Kumgang River, Korea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에 관한 연구

  • 이석구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부성민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2000.09.01

Abstract

Standing crops of freshwater phytoplankton was studied from October 1998 to September 1999 in Hyendo, Maam, Jangam, and Napo of Kumgang River. Standing crops peaked in July in Hyendo $(39.5{\times}10^3Cells ml^{-1}), Maam (112.1{\times}10^3Cells ml^{-1}), and Jangam (125.5{\times}10^3Cells ml^{-1}), while in August in Napo (288.6{\times}10^3Cells ml^{-1}), respectively. The standing crops ranged less than 5,000 cells ml^{-1} in most of months in Hyendo and Maam, while more than 5,000 cells ml^{-1}$ throughout the year in Napo, Jangam's standing crops being intermediate. Total standing crops throughout the year increased with downstream; the standing crops of Napo was 9.6 times higher than that of Hyendo. The standing crops peaked from spring to early summer in Jangam and peaked in other seasons in Napo. The small centric diatoms Cyczotella spp., Stephanodiscus spp. and filamentous diatoms Aulacoseira spp. played an important role to form the peak of standing crops.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변화를 알기 위하여 현도, 마암, 장암, 나포에서 1998년 10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매월 1회 채수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현도에서 7월에 $39.5{\times}10^3cells ml^{-1}, 마암에서 7월에 112.1{\times}10^3cells ml^{-1}, 장암에서 7월에 125.5{\times}10^3cells ml^{-1}, 나포에서 8월에 288.6{\times}10^3cells ml^{-1}로 최대였으며, 현도와 마암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5.0{\times}10^3Cells ml^{-1}이하였고, 나포에서는 5.0{\times}10^3Cells ml^{-1}$ 이상이었으며, 장암은 그 중간이었다. 각 조사 정점의 현존량은 마암이 현도보다 3배 이상 높았고, 장암이 마암보다 1.3배, 나포는 장암보다 2.1배 높아서, 중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현존량 조사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봄부터 초여름까지는 장암의 현존량이 최대였고, 다른 계절에는 나포에서 가장 높았다. 현존량의 시공 분포 변화는 중심형의 소형 규조류 Cyclotella spp.와 Stephanodiscus spp. 및 사상 규조류 Aulacoseira spp.의 번무에 기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육수학회지 v.29 금강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구조 김준태;박유라;조현실;부성민
  2. 한국육수학회지 v.31 금강하류에서 녹조류 녹색소구체목의 개체군 동태 김준태;부성민
  3. 한국육수학회지 v.31 가창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동태 김한순;최재신;김용재
  4. 한국육수학회지 v.32 도시근교 하천 조만강의 수질 부영양화 신재기;조경제
  5. 한국육수학회지 v.31 대청호 성층파괴시 cyanobacteria의 수직분포 및 세포내 인의 조성 오희목;이석준;박정호;맹주선
  6. 한국육수학회지 v.23 한강하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질오염지표에 대하여 유광일;임병진
  7. 한국육수학회지 v.31 아산 남방제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계절 변화 이석구;부성민
  8. 충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지 v.17 금강 하구호 나포에서 식물플랑크톤 수직분포의 일변화 이석구;부성민
  9. 한국육수학회지 v.30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Ⅱ. 식물플랑크톤의 동태 이진환;장만
  10. 한국육수학회지 v.33 금강 중·하류의 오염양상과 수질평가 임창수;신재기;조경제
  11. 한국식물학회지 v.22 금강 공주 수역의 식물성 플랑크톤 정영호;이경
  12. 자연보존 연구보고서 v.7 금강 감조수역 식물성플랑크톤의 연간(1984~1985) 동태 정영호;이옥민;노경희
  13. 한국육수학회지 v.31 낙동강 하류에서 동·하계 무기 N·P영양염류와 식물플랑크톤의 동태 조경제;신재기
  14. 한국육수학회지 v.32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3.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과 광합성 모델 parameters 한명수;이동석;유재근;박용철;유광일
  15. Limnol. Oceanogr. v.16 Phytoplankton sampling with the Sedgwick-Rafter cell Bernard JM
  16. Limnology Horne AJ;CR Goldman
  17. Hydrbiologia v.128 A study of the suspended algae in the River Derwent, Kerbyshire Jones R;RJ Barrington
  18. Water Res. v.18 The dynamics of suspended algal populations in the lower water catchment Jones R
  19. Algae v.11 Seasonal changes of the cuglenoid species and the biomass in the Kumgang river Kim JT;SM Boo
  20. Freshwat. Biol. v.1 Quantitative studies on the phytoplankton of the rivers Thames and Kennet at Reading Lack TE
  21. The Ecology of Freshwater Phytoplankton Reynolds CS
  22. Algae and the Aquatic Encvironment Potamoplankton: Paradigms, paradoxes and prognoses Reynolds CS;Round FE(ed.)
  23. The Ecology of Algae Round FE
  24. J. Oceanol. Soc. Korea v.17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the Kum river estuary Shim JH;JS Yang
  25. Korea. J. Oceanol. Soc. Korea v.20 Phytoplankton community of the coast of Kunsan Shim JH;SJ Yoo
  26. Ecology v.68 A large scale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phytoplankton abundance in rivers, lakes, and impoundments Soballe DM;BL Kimmel
  27. Arch. Hydrobiol. v.140 The development of a true riverine phytoplankton assemblage along a lake-fed lowland river Yang JR;BK Basu;PB Hamilton;FR P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