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Gene Mutation and Expression Level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in Premature Ovarian Failure(POE) Patients

조기 난소 부전증(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환자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 변이 및 발현 양상에 대한 분석

  • 김정욱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생식 생물학 및 불임연구실) ;
  • 염혜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생식 생물학 및 불임연구실) ;
  • 이형송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생식 생물학 및 불임연구실) ;
  • 송견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생식 생물학 및 불임연구실) ;
  • 천강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생식 생물학 및 불임연구실) ;
  • 박용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생식 생물학 및 불임연구실) ;
  • 김계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 불임클리닉)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nalyze the inactivating point mutation and expression level of follicle-stimulating hormone(FSH) receptor mRNA. In first experiment, we analyzed the point mutation. Peripheral blood was collected from each patient. To screen individuals for the C566T mutation, PCR was performed for exon 7 of the FSH receptor gene in 10 patients. No inactivating point mutation of FSH receptor gene was identified in wome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To analyze the expression level of FSH receptor, mRNA expressions were examined by RT-PCR method using specific primers for the FSH receptor. The amount of FSH receptor mRNA expressed in POF patients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se finding suggests that lower expression of FSH receptor in premature ovarian failure patients might be the cause of the low response to the gonadotropin during the hyperstimulation in IVF-ET cycles.

본 연구에서는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돌연변이 분석을 위해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nucleotide 566을 포함하고 있는 exon 7에 특이적인 primer쌍을 이용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였다. 전기 영동으로 반응산물을 확인한 다음, 돌연변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한효소 절단분석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을 시행한 결과, 대조군과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군 모두에서 돌연변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관아기 시술과정 중 난자 채취과정에서 얻어진 황체화 과립세포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시행하였다. 반응 산물을 전기 영동하여 발현양상을 비교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군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이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조기 난소 부전증 환자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난포 자극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낮아 과배란 유도시에 생식소 자극 호르몬에 대해 저적응증을 보이며 난포형성과정에도 장애를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