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Dairy Farming Status, Reproductive Efficiencies and Disorders in New Zealand (I) A Survey on Dairy Farming Status and Milk Yield in Palmerston North Area

뉴질랜드 (Palmerston North) 의 낙농 현황과 번식 및 번식장해에 관한 연구(I) Palmerston North 지역의 낙농 현황과 우유 생산량에 관한 조사 연구

  • Published : 2000.03.01

Abstract

Eighty dairy farms in Palmers ton North area in New Zealand were surveyed on 1) general characteristics (10 Questions), 2) milk yield and feed supplementary (7 questions), 3) reproductive efficiencies (12 questions) and 4) reproductive disorders (12 questions) by mail questions from February to July, 1998. Among those 4 items from 38 dairy farms (47.5%), especially in items 1) and 2), overall dairy farming situation, supplementary feeding and milk yields were surveyed and analyzed for Korean dairy farmers (especially in Cheju island)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r higher economical gai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dairy experience, 21 (45%) among 38 dairy farms surveyed were answered that farming less than 15 years, 15~19 year, 20~25 years and over 26 years experience were 3 (7.9%), 7 (18.4%), 6 (15.8%) and 5 (13.2%) which generally showed longer experience compare to Korean dairy farming situation. In survey of labour input and business goal of dairy farming, self-managing farms, sharemilkers, unpaid family manpowering farms, manager running farms, farms with hired worker, farms with part time helper and other type was 21 (55.3%), 10 (26.3%), 2 (3.5%), 3 (5.3%), 18 (31.6%), 2 (3.5%), and 1 (1.8%), respectively. 2. Analyzing pasture and tillable land, pasture according to feeding scale (200, 300 and 400 heads) were 56, 90 and 165.3 ha, and tillable lands were 51, 78 and 165 ha which showed some differences among feeding scale. In recording methods in 38 farms replied, 36 (95%) dairy handbook and 23 (70%) dual methods taking farms were higher than that of 10 (26.3%) computer and 15(39.5%) well-recorder methods. 3. Dairy waste processing facilities in environmental field were almost perfect except of metropolitan area, and so no problem was developed in its control so far. Hence, 26 farm (68.4%) of pond system was higher rather than those in 8 (21.2%) of using as organic manure after storing feces of dairy cattle, 1(2.6%) bunker system and 3 (7.9%) other type farms. 4. In milking facilities, 33 farms (86.9%) of Harringbone types were higher than those in 3 (7.9%) of Walkthrough types, 1 (2.6%) of Rotary system and other types. Although the construction facilities was not enough, this system show the world-leveled dairy country to attempted to elevate economic gains using the advantage of climatic condition. 5. In milking day and yearly yield per head, average 275 milking days and 87 drying days were longer than that of 228 average milking days in New Zealand. Annual total milk yield per head and milk solid (ms) was 3,990 kg and approximately 319 kg. Dairy milk solid (ms) per head, milk yield, fat percentage was 1.2 kg, 15.5 kg and average 4.83% which was much higher than in other country, and milk protein was average 3.75%. 6. In coclusion, Palmerstone North has been a center of dairy farming in New Zealand for the last 21 years. Their dairy farming history is 6~9 year longer than ours and the average number of milking cows per farm is 355, which is much greater than that (35) of Korea. They do not have dairy barn, but only milking parlors. Cows are taken care of by family 0.5 persons), are on a planned calving schedule in spring (93%) and milked for 240~280 days a year, avoiding winter. Cows are dried according to milk yield and body condition score. This management system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dairy farms. Cows are not fed concentrates, relying entirely on pasture forages and the average milk yield per cow is 3,500 kg, which is about 1/2 milk yield of Korean dairy farms. They were bred to produce high fat milk with an average of 4.5%. Their milk production cost is the lowest in the world and the country's economy relies heavily on milk production. We Korean farmers may try to increase farming size, decreasing labor and management costs.

New Zealand, Palmerston North 지역의 낙농가 80여 개 낙농가에 1998년 2월부터 1998년 7월까지 우편설문지에 의해 조사되었다. 주어진 질문항목은 1). General characteristics (10개 질의), 2). Milk yield and feed supplementary (7개질의), 3). Reproductive efficiencies (14개 질의), 4). Reproductive disorders (12개 질의) 4개 항목을 포함하는 합계 43개의 질문을 내포하고 있었다. 낙농가의 응답자 38농가 (47.5%)에서 회수된 질의문 4개 항목중 1). 2). 항목에 해당되는 낙농사업에 있어서 일반적인 낙농 사육현황, 보조사료 그리고 우유 생산 등을 집계 분석하여 장단점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낙농인 (특히 제주도)들에게 인식시켜 보다 낳은 경제적 이익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바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낙농사육경력은 38개 낙농가 중 기록된 농가가 21개 (45%)였는데, 이중 15년 미만경력이 3농가(7.9%), 15~19년 경력은 7농가 (18.4%), 20~25년의 경험 농가가 6개 농가 (15.8%)였고, 26년 이상 경력을 가진 농가수는 5농가 (13.2%)로 대체로 우리나라보다 경력기간의 길고 많은 경험을 갖고 있는 낙농부국이었다. 낙농가의 노동력 투입에 있어서 주인 자신이 직접 경영하고 있는 농가는 21농가 (55.3%)였으며, Sharemilker에 의존하여 운영하는 농가가 10농가 (26.3%), 그리고 가족노동력이 투입된 2농가 (3.5%), Manager 가 주로 주관하여 운영되는 3농가 (5.3%), 일하는 사람을 두고 있는 농가 18농가 (31.6%)였으며, Part time 인력을 쓰는 농가는 2농가 (3.5%)뿐이고 기타가 1농가 (1.8%)로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사항은 낙농농가 당 1.5 인에 해당됨으로 경제적 이익 향상을 위해서 임금투입이 아주 낮았다. 2. 사육기반인 방목지와 경작지를 분석하여 보면 사육규모별 (200, 300, 400두) 방목지는 각각 56, 90, 165.3ha로 평균 107.8ha이었고, 경작지도 각각 51, 78, 165ha로서 사육규모별 차이가 컸다(P<0.01). 이와 같은 결과는 낮은 비용으로 우유를 생산하고 우유제품 95%를 세계 각국으로 수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음을 입증 할 수 있었다. 낙농가의 전반적인 기록여부사항은 응답농가 (38 농가) 중 10농가 (26.3%)가 computer, 벽기록장을 이용하는 농가수가 15농가(39.5%), 그리고 낙농수첩을 사용하고 있는 낙농가는 36농가(95%)로 가장 높았으며, 두 가지로 기록하고 있는 농가 수는 23농가(70%)로 높은 편이었다. 3. 한편, 환경면에 있어서 분뇨 처리 시설 분야는 큰 도시를 제외한, 공해를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깨끗하여 아직은 철저하지 않아서 공해처리는 문제화되지 않고 있었다. 그러므로, Pond system 이 26농가(68.4%)로 제일 많았으며, 다음에 매일 분을 제거하여 쌓아 놓아서 저장해 놓고 유기질 비료로서 이용하는 농가가 8농가(21.1%), 1 농가(2.6%)에서 Bunker system으로 저장되었고 기타의 방법으로 저장하는 것이 3농가(7.9%)로 대부분 유기질 비료가 부족하여 화학 비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형편이며 한국의 30~40여년 전 환경 상태와 유사하였다. 4. 우유 착유 시설 조사에서는 Harringbone 시설이 33농가(86.9%)였고, 다음으로 Walkthrough 구조가 3농가(7.9%), Rotary system 과 기타 구조식이 각각 1개 농가(2.6%)로 세계 낙농 선진국으로 인정 할 수 있으나, 축사시설은 거의 없고 착유시설만 설치되어 있어서 기후환경의 이점을 최대로 살려 경제성 향상을 시도하고 있었다. 5. 착유일수와 두당, 년간 비유량에 관해서 착유일수는 평균 275일, 건유기간 약 87일로 New Zeal-and 의 평균 착유일수 228일 보다 약 47일정도 긴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착유두수 당 우유 총생산량을 보면 년간 평균 3,990kg 이었고, 우유 건물량 (ms)은 약 319kg였다. 그리고 매일 두당 우유건물량 (ms)은 평균 1.2kg, 우유량은 15.5kg(건물 12.5%로 환산), 우유지방은 평균 4.83%로 외국의 수치 보다 상당히 높았고, 우유 단백질은 평균 3.57% 이었다. 6. 결론으로 Palmerstone North 지역의 낙농업은 뉴질랜드의 중심지로 목장운영의 경험과 경력 약 20년으로, 우리나라의 6~9년 보다 길고, 전체 호당 평균 사육두수는 약 355두로서, 우리나라 최근 호당 35두에 비하여 차이가 심했다. 목장에는 사육우사는 거의 없고 단지 충실한 착유실만 있을 뿐으로 대부분의 목장은 가축 노동력인 부부 두 사람 (1.5 인)에 의해서 착유가 실시되고 있으며, 특이한 것은 철저히 봄에만 분만 (93%) 을 유도하는 계절번식을 시도하여 착유기간은 240~280일로 겨올동안은 착유를 하지 않고, 당해년 그 무리의 비유량과 body score에 의해서 건유기가 결정되어 휴식기로 들어감으로서 우리나라와는 다방면(경영형태포함)에서 많은 차이점이 있었다. 그리고 젖소에는 전혀 농후사료를 급여하지 않고 완전히 방목을 위주로 사육되기 때문이며 착유량은 약 3,500kg로 우리나라의 절반이지만 집유시 우유량 보다 유지율에 따라서 환금됨으로 유지율이 4,5%로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개량하여 왔으며, 세계에서 가장 낮은 가격의 우유를 생산하는 낙농부국으로서 우리나라도 노동력 절감과 대규모 사육을 위한 실질적인 면은 물론 경영면에 더욱 치중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