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살모넬라증 환아에 대한 임상적 연구(1994~1999년)

Salmonellosis in Children in Daejeon, Korea, 1994~1999

  • 전성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경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형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상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한지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허재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황경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Chun, Jung-S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Kyung-Y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Hyung-Shi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Sang-Y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an, Ji-Wha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er, Jae-K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Whang, Tyung-Tai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발행 : 2000.11.30

초록

목 적 : 장티프스와 세균성 위장염의 주된 원인인 살모넬라 병원체는 우리 나라에 토착화되어 있으며 최근 장티프스의 발생 수는 줄고 있으나 살모넬라 위장염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살모넬라증 환아의 연도별, 계절별 발생 례를 분석하고 임상양상과 검사실 소견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6년간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소아과에 급성위장관염으로 입원한 환아 중 살모넬라균이 대변에서 배양된 83명의 환아의 입원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996년부터 1999년 사이의 발생수는 14~23례로 최근 4년간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며 여름철에 45.8%, 가을철 32.5%가 발생하였다. 남아가 48명(57.8%)으로 남녀비는 1.4 : 1을 보였고, 5세 이하가 64명(77.1%)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1세 이하의 영아에서 18명(21.7%)이 발생하였다. 임상증상은 설사가 80례로(96.4%) 가장 흔한 증상이었으며 발열(91.6%), 구토(49.4%), 혈변(42.1%), 복통(40.1%), tenesmus(12.0%), 두통(7.2%), 경련(3.6%), 기면(2.45%) 등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살모넬라균의 혈청학적 아군(serogroup)은 전체 83례 중 A군 0%, B군 41.0%, C군 3.6%, D군 51.8% 및 E군 3.6%이었다. Widal 검사에서 B, C 및 E군 37례에서 O titer 1 : 80 이상은 5례(13.5%), 1 : 320 이상은 1례(2.7%)가 있었으며, D군 36례 중 O titer 1 : 80 이상은 19례(52.7%), 1 : 320 이상은 9례(25.0%)에서 관찰되었다. 항생제 내성율 검사에서 ampicill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과 chloramphenicol의 내성율은 각각 23.2%, 10.1%와 51.4%로 나타났으며, aminoglycoside계 및 3세대 cephalosporin계에 대한 내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최근 소아 위장염 환아 중 살모넬라 감염이 흔히 관찰되며 특히 학동기 이전의 소아에서 호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티프스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대변 배양검사를 통한 균의 동정이 필요하며, 살모넬라 위장관염의 치료에서 항생제 치료의 적응증을 엄격히 적용하여 다약제 내성균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Purpose : Salmonellosis including typhoid fever is still prevalent in Korea.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cidence of salmonella gastroenteritis is increasing with a reduction of typhoid fever. We studi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of salmonellosis. Methods : We evaluated the clinical records of 83 patients with salmonellosis who had been confirmed by stool culture from 1994 to 1999. Results : Annual incidence of salmonellosis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during recent 4 years. Seasonally, summer(45.8%) was the most prevalent, followed by fall(32.5%). Male to female ratio was 1.4 : 1. In age distribution, 64 cases(77.1%) were under 5 year-old, and 18 cases(21.7%) were younger than 1 year-old. Clinical features included diarrhea(96.4%), fever(91.6%), vomiting(49.4%), bloody stool(42.1%), abdominal pain(40.1%) and tenesmus(12.0%). In serogroups, there was no group A and group B, group C, group D(including 2 cases of S.typhi) and group E were in 41.0%(34 cases), 3.6%(3 csaes), 51.8%(43cases) and 3.6%(3 cases), respectively. In Widal test, 5 cases(13.5%) and 1 case(2.7%) of group B, C and E(total 37 cases) were observed the O titer above 1 : 80 and 1 : 320, respectively. However, in 36 cases of group D, 19 cases(52.7%) and 9 cases(25.0%) were above the O titer 1 : 80 and 1 : 320, respectively. Antibiotics resistant rates to ampicill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nd chloramphenicol were 23.2%, 10.1% and 51.4%, respectively. Conclusion : Salmonellosis has become a common cause of gastroenteritis in children, especially under the pre-school age. Isolation of salmonella is neccessary for accurate diagnosis of gastroenteritis and typhoid fever. A careful attention of the use of antibiotics is needed to reduce the muilti-drug resistant strai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