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Effective Constituents of Korean Paeony Roots(Paeoniae radix)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한국산 작약의 산지별 유효성분 비교

  • Sung, Won-Y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Drug and Food, Choong Ang University) ;
  • Yoon, Gwang-R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Drug and Food, Choong Ang University) ;
  • Jang, Sang-Moon (Department of Health Food, Taegu Health College)
  • 성원용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식품공학과) ;
  • 윤광로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식품공학과) ;
  • 장상문 (대구보건대학 보건식품계열)
  • Published : 2000.09.01

Abstract

To compare the contents of well-known effective constituents, paeoniflorin, albiflorin and benzoic acid, of Korean paeony roots cultivated at different regions,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quality evaluation of paeony roots. HPLC analysis showed that the paeoniflorin contents of white paeony roots of 3 years grown at Eui-seong gun, Kyungpook was the highest of 2.06% and red paeony roots of 3 years grown at Im-sil gun, Junpook was the lowest of 1.33%. The highest level of albiflorin contents was 2.04% of red paeony root grown at Ul-jin gun, Kyungpook, while the lowest levels were 0.05% of Eui-seong gun, Kyungpook and 0.06% of Im-shil gun, Junpook. The highest level of benzoic acid contents was 0.12% of red paony roots grown at Choung-do gun, Kyungpook and that grown at Ul-jin gun, Kyungpook was the lowest. Based on the average of three available constituents, the paeony roots cultivated at Kyungpook province was the highest contents of 2.03%, while 1.47% at Junpook provi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Kyungpook province is the best region for the cultivation of white and red paeony roots, the combining of three available constituents would be more accurate than use of paeoniflorin only.

백작약 및 적작약의 주산지로 알려져 있는 경북 의성지역 외 5개 지역에서 1999년에 재배된 작약뿌리를 현지에서 수집하여, 산지별로 작약의 지표물질로 알려진 paeoniflorin, albiflor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국내산 작약의 재배 지역별 paeoniflorin 함량은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백작약 2.06%로 가장 높았다. 산지별로는 경기도 광주지역의 적작약 1.52%이었으며, 전라북도 임실 지역에서 재배된 적작약이 1.33%로 가장 낮았다. Albiflorin의 함량은 경상북도 울진 지역의 적작약에서 2.0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낮은 지역은 적작약에서 2.0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낮은 지역은 경상북도 의성 지역과 전라북도 임실 지역의 적작약이 0.05%와 0.06%이었다. Benzoic acid의 함량은 경상북도 청도 지역에서 0.12%로 가장 높았으며, 경상북도 울진 지역이 0.0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aeoniflorin, albiflorin 및 benzoic acid의 함량은 유사한 비례적인 상호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경상북도 울진 지역의 1년근 적작약의 paeoniflorin 함량에 대한 albiflorin 함량의 비율은 타 지역과 달리 1.60 및 1.77로서 paeoniflorin에 비하여 albiflorin의 함량이 더 많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