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친화적(自然親和的)인 산림경영(山林經營)을 위한 안면도(安眠島) 산림자원(山林資源) 분석(分析)

Analysis of Forest Resources in Anmyondo for Forest Management Harmonizing with Nature

  • 송호경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선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허원무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이미정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Song, Ho Kyung (Dep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l Univ.) ;
  • Lee, Sun (Dep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l Univ.) ;
  • Heo, Won Mu (Dep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l Univ.) ;
  • Lee, Mi Jeong (Dept. of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l Univ.)
  • 투고 : 1999.12.16
  • 발행 : 2000.06.30

초록

안면도 지역의 산림 식생 구조와 입지조건을 파악하고 소나무림의 보존 대책 및 생태적으로 안정되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과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안면도의 산림식생은 주로 침엽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나무군락(Pinus densiflora community), 곰솔군락(Pinus thunbergii community), 리기다소나무군락(Pinus rigida community),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산림 토양의 특성은 토양 산도가 pH 4.4~5.5(평균 4.9) 정도로 강산성을 나타내며 유기물함량과 전질소 등의 양료가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다. 토성은 대부분 중식토 또는 사질식토로 비교적 견밀하여 통기성과 투수성은 다소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림을 지속적으로 보전 하기 위해서는 개벌(皆伐)작업 후에 조림사업을 실시하기보다는 우수한 형질의 소나무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므로 산벌갱신(傘代更新) 등과 같은 방법을 택하여 천연갱신을 유도하고, 아울러 유기물층의 제거를 통하여 소나무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미 활엽수종이 우점한 지역에는 경제적 측면과 생태적 측면을 고려하여 활엽수종을 위주로 한 무육작업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search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and site condition, and supply basic data for conservation of pine forest and ecologically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nd control in Anmyondo area. The forest of Anmyondo were largely classified as four forest community :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rigida community,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other nutrients in soil of the study area were relatively low, and average soil pH was 4.9. Soil texture was sandy clay or heavy clay and so the aeration and permeability could be poor. In this study site, the methods such as the promotion of germination of pine seeds through removal of forest floor and inducement of natural regeneration through such method as regeneration under shelter wood would be better than the method such as afforestation after clear-cutting for conservation the pine forests. Also, it will be a good method to practice tending for hardwood species in the dominant areas by hardwood specie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