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리스크관리와 보험

Library Risk Management and Insurance

  • 정혜경 (KDI 국제정책대학원 정보자료실)
  • 발행 : 2000.12.31

초록

도서관 운영에 수반되는 잠재적 리스크들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바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리스크의 인지, 리스크의 측정, 리스크 처리기법의 선택, 실행, 평가를 통한 리스크 관리과정은 대물(對物)리스크, 배상책임(賠償責任)리스크, 인사(人事)리스크를 가장 보편적인 방법인 보험에 의하여 처리되도록 제시하고 있다. 도서관의 체계적 리스크 관리를 위해서는 리스크 관리자를 선임하여 프로그램 개발과 보험가입에 책임이 주어져야 한다. 또한 제한적인 공제회의 보장대상은 보험상품 개발을 통해 충분한 리스크의 담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보다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도서관 리스크 관리의 개선과 보험의 적용을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he potential risks, involved with the management of a library, may cause a tremendous economic loss, so require a systematic management. The rist management process, consisting of risk identification, risk measurement selection of risk treatment methods,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suggests the use of insurance to deal with property risks, liability risks and personnel risks. For the systematic risk management of a library, risk manager should be appointed to be responsible for program development and insurance purchase. The limited coverage of library risks, provided by the school cooperative society,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development of insurance products.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mprove the library risk management and the application of insurance in a systematic and realistic wa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