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on Achievement and Science Learning Attitudes in Middle School Biology

협동학습 전략이 중학교 생물학습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The cooperative learning movement began as parts of the desegregation process in America, aiming at increasing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skills among diverse students. Cooperative learning may be defined as a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work together in small heterogeneous groups. Although many studies have shown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in a variety of subjects, relatively few have focused on biolog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biolog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ree sections. In one section, a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was used. Second section was taught in small groups and the third section was instructed in the traditional method. The unit 'Structures and functions of animals' was used. A total of 188 stud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se classes were treated for 10hours during 10weeks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28, 1999. The pretests-posttests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yed.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used as the data analysis procedur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chievement and the attitude of students using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p<.05) when compared to traditional classroom structure and small group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was more effective in the low-ability and average-ability students than the high-ability students in the science achievement.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in the cooperative group achieved bett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in affective, behavioral, and intention-cognitive domain of science attitude.

과학교육에 있어서 전통적 수업은 다양한 학생들의 육성과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여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저하시켰다. 평균적인 다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에서 결국 많은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잃게 되고 학생들은 타율적인 대상으로만 머물러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활동을 격려하며 구성원들의 합의를 통한 문제해결을 이끌어내기 위한 수업 방식으로서 협동학습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교과에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 소집단 학습과 협동학습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중학교 2학년 "동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서 협동학습, 소집단 학습, 전통적학습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학습 태도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 2학년 188명이며 10주간 10차시 수업처치를 하였고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동학습은 소집단 학습이나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학습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5). 그리고 협동학습은 학업 성취도 면에서 성취수준이 상위인 학생들에게 효과가 없었고 중위와 하위의 학생들에게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p<.05). 또한 협동학습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효과적이었다(p<.05). 협동학습은 과학학습 태도의 세 영역인 감정적 영역, 행동 의도적 영역, 인지적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01).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