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f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Textbook(Materials Part) By Using 3-Dimensional Analysis Framework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고등학교 공통과학(물질 부분)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 Kim, Yun-Hi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and Basic Institution for Science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Moon, Seong-Bae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and Basic Institution for Science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윤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및 과학교육 연구소) ;
  • 문성배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및 과학교육 연구소)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he analysis of four kinds of common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6th curriculum. Particularly, inquiry activity part was analyzed by the three dimension framework which consists of inquiry content dimension, inquiry process dimension and inquiry context dimension. In the analysis of the inquiry content dimension of inquiry activities, the contents revised by 6th curriculum of common science textbook was accomplished through various inquiry activities.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y in four textbooks was similar as about 16. The For the analysis of inquiry process dimension, 'interpreting data and formulating generalizations' category (39.1%) was most emphasized and the categories of 'observation and measuring'(30.8%), and 'building, testing and revising the theoretical model' (16.5 %), 'seeing a problem and seeking ways to solve it' (13.5%) follow in order. As for the analysis of the inquiry context dimension, the proportion of STS related contents in inquiry activities was only 18%. So, we propose that STS related contents would increase the proportion for the following textbook.

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4종의 공통과학 교과서(물질단원)의 내용분석을 통해 전체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고 6차 교육과정에 중점을 둔 탐구활동을 탐구 내용 영역, 탐구 과정 영역 및 탐구 상황 영역으로 구성된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종의 공통과학 교과서에서는 풍부한 학습자료와 읽을거리를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흥미 있는 교과서가 되도록 하고 있었다. 3차원 분석틀 중 탐구 내용 영역 분석에서는 교육과정 목표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다양한 탐구활동을 통해 다루고 있었으며 탐구활동의 횟수도 교과서당 평균 16회 정도로 각 교과서의 탐구 활동 횟수가 유사하였다. 탐구 과정 영역의 분석에서는 자료해석 및 일반화가 39.1%, 관찰 및 측정이 30.8% 로 대부분올 차지하고 있어 공통과학 교과서의 기본 목표에서 볼 때 상위의 탐구과정 요소의 반영 비율을 좀 더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탐구 상황 영역의 분석에서는 과학적 상황이 81.3%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현대 과학 교육의 주요한 교육운동인 STS 관련 내용은 18%에 불과하여 아직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