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6th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heir Practices

제6차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실천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 Published : 2000.03.30

Abstract

We examined how science teachers in academic high schools perceived the 6th science curriculum and how they practiced under the curriculum. A nationwide survey was administered to obtain the responses from 402 teachers of 135 high schools. Most thought that the main themes of curriculum revision were well-embedded in the 'objectives', and that the 'content and content structure' were proper. However, they thought that the 'objectives' were not stated explicitly enough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and to improve actual teaching and evaluation, and that some statements in the sections of 'method' and 'evaluation' were not proper if considered actual teachers' ability to teach inquiry and educational facilities. Many teachers also felt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riculum was not sufficiently included at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hat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not enhanced. Only few teachers were found to apply the STS approaches, reconstruct lessons, vary the structure of learning group, and develop evaluation tools with their colleagues. The lack of the practices was explained by entrance-examination-centered instruction and assessment, poor educational facilities, and lack of innovative teaching materials.

전국 135개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402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제6차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절성과 실천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목표에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침이 잘 드러나 있고, 내용 체계와 내용은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목표가 과학 교육 자료개발과 실제 지도 및 평가에 도움이 되도록 진술되지 않았으며, 방법 및 평가에 제시된 진술문은 교사의 탐구 지도 능력과 학교의 여건을 고려할 때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교육과정의 개정 내용을 교사 연수에서 충분히 다루지 않았으며, 개정된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학생들의 지식 이해, 태도,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학습 지원 시설과 자료의 부족, 입시 위주의 수업 및 평가 등으로 인하여, STS적 접근방법의 사용, 단원의 재구성, 학습 집단 구성의 다양화, 평가 도구 공동 개발 등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수업 지도 방법을 실천하는 교사는 적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