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reading pupillary distance of the aged population of rural community

농촌지역 노인들의 근용 안경의 동공간거리에 관한 연구

  • Lee, Il Hoon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Wonkwang Health College)
  • 이일훈 (원광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Published : 200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valuate for effect quality eye care to the aged population of rural community. This study investigated one of important factors in dispensing distance pupillary distance. measured reading pupillary distance, calculated reading pupillary distance into age group and sex. I measured pupillary distance and near inter pupillary distance with corneal reflection pupillometer(shin Nippon PD-82) The objects are male and female living rural community at least 60 years old. The mean pupillary distance for distance of male and female were 63.52 mm, 61.24 mm, respectively. The mean measured reading pupillary distance of male and female were 60.12 mm, 58.08 mm, respectively. Gradient and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ere same with mean pupillary distance for distance. The result of comparison the mean difference of the mean measured reading pupillary distance and the calculated reading pupillary distance into the age group and sex. This result of changes of addition, as the age is older, the mean addition is greater than youth. I'd like to compare changes of these factor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however I couldn't see about these. So I couldn't considered their relationship and some possible problems of wearing commercial reading glass.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령인구의 원용동공간 거리와 근용 동공간거리, 원용동공간거리로부터 계산한 근용동공간 거리, 가입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상용화된 노안경에 관한 보고를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이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전라북도 김제시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 남자 88명, 여자 169명, 계 292명을 대상으로 선정된 대상자들의 분포는 남자 64~81, 여자는 61~81세 사이였다. 1. 남자와 여자의 원용 동공간거리는 각각 63.52 mm, 61.24 mm이었고 나이가 듦에 따라 점차 작아짐을 보였다. 2. 근용 동공간거리는 남자와 여자가 각각 60.12 mm, 58.08 mm이었고 남녀간의 차이와 변화 추세는 원용동공간거리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3. 측정된 근용 동공간거리와 원용동공간 거리로부터 계산된 근용 동공간 거리를 성별로 비교한 결과 남, 여 각각 1.68 mm, 2.19 mm로 여자가 남자보다 더 큰 차이를 보였다. 4. 가입도는 나이가 듦에 따라 점차 커지고 있었으며 남녀간의 차이는 60대에서 2.64 Dptr. 정도의 큰 차이를 보이다가 80대에 들어서는 불과 0.07 Dptr.의 미세한 차이를 보였다.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대상자를 선정함으로써 환경적 요인을 비교하고자 했으나 비교할만한 선행연구를 볼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