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Heavy Metal Contents on the Sediment of Kwangyang Bay

광양만의 퇴적물에 대한 이화학적 조성 및 중금속 함량

  • Park, Jong-Chun (Division of Oceanic Environmental Engineering) ;
  • Kim, Jin (Division of Oceanic Environmental Engineering) ;
  • Lee, Woo-Bum (Division of Oceanic Environmental Engineering) ;
  • Lee, Sung-Woo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Department of Dam Management) ;
  • Joo, Hyun-Soo (Division of Oceanic Environmental Engineering)
  • 박종천 (서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 김진 (서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 이우범 (여수대학교 해양환경공학부) ;
  • 이성우 (한국수자원공사 댐관리처) ;
  • 주현수 (서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0.03.31

Abstract

For the purpose of surveying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sediment collected from Kwangyang Bay, the percentage of water loss, COD, $H_2S$, grain size and 10 heavy metals were studied at 17 sites. During the surveying period, the changes of the percentage of water loss were appeared $35.5\;{\sim}\;53.8%$. COD and $H_2S$ were showed $3.8\l{\sim}\;12.9\;mg/g$, and $0.1\;{\sim}11.4\;{\mu}g/g$, respectively, In composition of grain size on the sediment, percentages of grain sizes under $74\;{\mu}m$ were varied from 40.5% to 86.7% and above $74\;{\mu}m$ were varied from 11.5% to 43.0%. From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eavy metal using contour map, we can suppose some heavy metal discharges which affect sediment of Kwangyang Bay, It was estimated that Shinpung creek, Ssang-bong creek, and draining area of sewange treatment plant were the main discharge among the heavy metal output sources. By comparison between present study and heavy metal guideline of nonpolluted sea sediment that is provided by EPA, US, it wa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Pb and Hg were acceptable but contents of Mn, Zn, Cu, Fe, As, and Cr were higher than those of EPA guideline.

본 연구는 광양만 퇴적물의 이화학적 조성과 중금속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함수율, COD, $H_{2}S$, 입도 및 10가지의 중금속을 17개 조사지점에 대해 분석${\cdot}$조사하였다. 조사기간동안 나타난 결과로서 퇴적물의 함수율 변화는 35.5${\sim}$53.8%를 나타내었다. COD와 $H_{2}S$는 각각 3.8${\sim}$12.9 mg/g, 0.1${\sim}$11.4 ${\mu}g/g$를 나타내었다. 퇴적물 입도의 구성은 입경 $74{\mu}m$ 이하가 40.5${\sim}$86.7% 74${\mu}m$ 이상이 11.5${\sim}$43.0%로 나타났다. 등농도 분포도를 이용한 중금속의 공간분포로부터 광양만 퇴적물에 영향을 미치는 몇 곳의 배출원을 추정할 수 있었다. 중금속 배출원 중 여천공단 내의 신풍천, 쌍봉천 그리고 하수처리장의 방류수역이 주요 배출원으로 판정되었다. 중금속의 분석 결과를 US, EPA 비오염해역의 guideline에 비교할 때 납과 수은은 guideline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망간, 아연, 구리, 철, 비소, 크롬 등은 guideline을 모두 상회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의 생물상과 어류의 섭식생태 곽석남
  2. 여천공단 주변 환경오염실태 현지조사결과보고서(1단계) 국립환경연구원
  3. 광양만내 유기주석화합물의 해수, 퇴적물, 생물중 농도 및 분포 상관관계 김규용
  4. 광양만 동부해역 퇴적물 특성과 저서성 유공충 군집 분포 김신정
  5. 광양만에서의 잔류 유기인 농약성분 박점숙
  6.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광양만 생태계의 미생물군집에 관한 환경요인 분석 박종천;이우범;주현수
  7.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1 광양만의 부유성 요각류 출현량의 계절 변동 서호영;서해립
  8. 광양만 바지락 (Tapes philippinarum: bivalvia)의 성장과 생산 신상호
  9.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십각류 군집의 계절변동 안용락
  10.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1 광양만 미생물 군집에 관한 환경요인 분석 위인선;전순배;이종빈;나명석
  11. 서남해역에서 성게의 배우자와 배아를 이용한 연안해수 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유수현
  12.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배우자를 이용한 광양만 해수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유춘만;주현수;박종천;이우범;이원교
  13. 광양만 주변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수괴지표종을 중심으로 윤성진
  14. 광양만 및 동해남부해역의 저층경계면에서 탄소순환과 유기물분해에 관한 연구 이인호
  15. 여자만의 저서동물 군집에 관한 연구 임주환
  16. 광양만 주변 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특성 최승호
  17. 광양만과 여수해만의 퇴적환경 최정민
  18. 광양만 대도주변 어류의 종조성 변화 추현기
  19. 여천공단 주변마을 환경영향 및 대책에 관한 연구보고서 한국과학기술원
  20.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PHA;AWWA;AEF
  21. Korean J. Oceanogr v.19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Choi, J.W.;Koh, C.H.
  22. Limnol. Oceanogr v.22 The sulfur cycle of a costal marine sediment Jorgensen, B.B.
  23. Wat. Sci. Tech. v.28 Forms of phosphorus in the sediments of Masan Bay, Korea Kim, B.J.;Lee, C.W.
  24. Can. J. Soil Sci. v.58 Availability of zinc, copper and nickel to plants grown in sewage-treated soil Mackean, A.J.;Dekker, A.J.
  25. Arch. Hydrobiol. v.2 Mud-water exchange of phosphate and other ions in undisturbed sediment cores and factors affecting the exchange rate Nielson, L.K.
  26. Wat. Sci Tech. v.28 Source and delivery of sediments contaminated by toxic metals to the North Avenue Dam, Milwaukee, USA Novotny, V.
  27. Wat. Sci. Tech. v.32 Sea sediment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Sarvides, C.
  28. J. Biol. Chem. v.132 The biochemical of Pb Sobel, A.E.;Yuska, H.;Peters, D.D.;Kramer, B.
  29. Natl. Inst. Environ. Stud. Res. Rep. v.75 General distribution profiles of thirty-six elements in sediments and manganese concretions of Lake Biwa Takamatsu, T.;Kawashima, M.;Koyama, M.
  30. Ind. Eng. Chem. Anal. v.1 Improvement in the deniges colorimetric method for phosphorus and arsenic Truog, E.;Meyer, A.H.
  31. Guideline for the pollution classification of Great Lakes Harbor sediment US E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