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s in Soil Solution Chemistry under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임분 토양수 성질의 계절적 변이

  • Ryu, Soung-Ryoul (KBSI Seoul Branch) ;
  • Son, Yo-Wha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 Joo, Yeong-Teu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Protec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in, Hyun-O (Department of Forestry, Kyunghee University) ;
  • Oh, Jong-M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s, Kyunghee University) ;
  • Jung, Duk-You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0.03.30

Abstract

To investigate seasonal variations of soil solution chemistr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zero tension lysimeters in O, A, and B horizons of 26-year-old Larix leptolepis. Pinus koraiensis and Quercus mongolica stands in Kwangju, Kyunggi Province from September, 1996 through June. 1999. Potassium, $Mg^{2+}$, $Cl^-$, and $No_3\;^-$ concentrations increased in October and November concurrent with inputs of fresh litterfall and twigs. Sodium, $Ca^{2+}$, $K^+$, and $Mg^{2+}$ concentrations increased in March and April concurrent with the yellow sand effect. Potassium concentration showed the highest variation among ions, and $Cl^-$ concentr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K^+$ and $Mg^{2+}$ concentrations. Soil solution pH decreased while $Al^{3+}$ and $K^+$ concentrations increased during the study period. If our data reflects long term trends. then $Al^{3+}$ concentration in the O horizon will reach the toxic level (0.180 meq/l) within 10-20 years depending on species.

토양수 내 이온 농도의 계절적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광주군 퇴촌면에 위치한 26년생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신갈나무 임분의 O층, A층, B층에 zero-tension lysimeter를 설치하고 1996년 9월부터 1999년 6월까지 토양수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10월과 11월에 토양수 내 $K^+$, $Mg^{2+}$, $Cl^-$, $NO_3\;^-$등의 농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가을철 낙엽 및 낙지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보이며, 3월과 4월에 $Na^-$, $Ca^{2+}$, $K^+$, $Mg^{2+}$ 등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은 봄철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황사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토양수 내 이온 가운데서 $K^+$의 농도가 연중 계절별로 가장 크게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수 내 $Cl^-$ 농도는 $K^+$, $Mg^{2+}$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단변량 시계열 분석 결과 연구기간 동안 토양수 pH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Al^{3+}$$K^+$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경향이 지속될 경우 O층 토양수 내 $Al^{3+}$ 농도가 식물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최소농도 (0.018 meq/l)에 도달하려면 수종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10-20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