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Feeding Monensin on the Body Gain and Ruminal Parameters of Han-Woo Cattle

Monensin의 급여가 한우의 증체 및 제1위액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

  • Lee, S.K. (Division of Animal Science and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Jung, K.K. (Division of Biological Resources,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이수기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자원학부) ;
  • 정근기 (영남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생물자원학부)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monensin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Han-Woo cattle. Seventy two uncastrated Han-Woo male cattle(BW 267 kg) were randomly allotted to 0, 22, and 33 ppm monensin treatments, three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eight heads per replicate. Animals were kept in an open barn for an 140-d feeding trial, Concentrate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monensin and rice straw cut in 15cm length were fed ad libitum separatel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daily gain by monensin feeding. 2. Monensin did not affect the total feed (concentrate + roughage) intake: however, as the monensin level increased, the total feed intake tended to decrease, resulting in 5 % reduction in 33 ppm monensin treatment. 3.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ree treatments, 22 and 33 ppm monensin improved the feed efficiency(total feed/gain) by 5.2 % and 5.1 %,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0 ppm monensin treatment. 4. Monensin did not affect the concentrations of ruminal total VFA and acetic acid consistently. Although not significant, monensin feeding of 22 and 33 ppm caused marked increase in ruminal propionic acid concentration, 13.8 % and 19.3 %, respectively. Ruminal butyric acid concentration decreased as monensin level increased. Monensin feeding, regardless of level, decreased the A/P ratio by 12.5 %. In conclusiuon, monensin feeding increased the propionic acid concentration, and decreased the butyric acid concentration and A/P ratio in the rumen. Animals fed monensin consumed less feed, causing the improvement in feed efficiency. Thus, monensin appeared to be a useful feed additive, directing the rumen fermentation in a more productive way. Feed efficiency improved similarly both in 22 and 33 ppm monensin treatments, indicating that 22 ppm might be good enough rather than the 33 ppm monensin level.

Monensin의 첨가 급여가 한우의 육생산 효율 및 제1위내 발효성상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거세우 72두(평균체중 266.9kg)를 0, 22, 및 33 ppm의 monensm 처리구에 처리당 3반복, 반복당 8두씩 체중이 비슷하도록 배치하여 옥외 사육장에서 14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Monensin은 농후사료에 0, 22, 및 33 ppm 수준으로 첨가하였으며, 농후사료와 조사료(15cm 정도로 절단한 볏짚)는 자유채식 시켰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당증체량은 각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총사료(농후사료+조사료)섭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없었으나 monensin 급여수준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경향이어서 33ppm구에서 약 5% 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3. 총사료효율(총사료섭취량/증체량)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없었으나 0ppm 구에 비하여 22ppm구와 33ppm구가 각각 5.2%와 5.1%의 거의 통일한 개선을 나타냈다. 4. 제1위내 total VFA와 acetic acid의 농도는 monensin에 의한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propionic acid 농도는 처리간에 유의성은 없었으나 무첨가구에 비하여 22 및 33ppm 구에서 각각 13.8%와 19.3%의 증가를 보였다. Butyric acid 농도는 22ppm구에서도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33ppm구에서는 유의한 ($p{\leq}0.054$) 감소가 인정되었다. A/P비는 monensin 무첨가구에 비하여 22ppm구와 33ppm구에서 각각 12.5 %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monensin은 propionic acid 의 증가와 butyric acid 의 감소 및 A/P비의 감소를 가져오는 효과와 함께 사료섭취량을 감소시켜서 비육우의 사료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monensin은 축우의 비육시 육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사료첨가제로서 충분한 사용가치가 있다고 사료되며, 22ppm과 33ppm 수준이 거의 통일한 사료효율을 보인 것으로 보아 22ppm 수준에서도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