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si-Experimental Evaluation on the Impact of the Training for the Unemployed

실업자재취직훈련의 재취업 성과에 관한 준실험적 평가

  • Received : 2000.09.28
  • Accepted : 2000.12.11
  • Published : 2000.12.31

Abstract

In this study I am concerned with the impact of training for the unemployed on reemployment in Korea. The data is based on the survey that was conducted on those who participated in training programs in 1998 and those who did not. The matching criteria was the length of the spell of nonemployment that preceded entry to training programs. This data design allows to apply the quasi-experimental evaluation method. My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articipation in training raises the hazard rate into reemployment, but training characteristics such as training contents, agencies do not affect the hazard rate significantly. This results imply that training participation increases reemployment possibility by preventing withdrawal of participants from the labor market, but training programs make little contribution to improving skills.

본 연구는 훈련을 받지 않은 실직자들로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훈련을 받은 실직자들과 함께 추적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훈련을 받지 않았을 경우의 가상적인 결과와 비교하여 훈련의 성과를 추정하는 준실험적인 평가를 하였다. Cox모형을 통한 추정결과, 훈련참여는 실직자의 재취업 확률을 유의하게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훈련내용은 재취업 확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훈련 참여자가 수강한 훈련 관련분야로의 재취업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실업자재취직훈련이 노동시장에서의 이탈을 억제하여 재취업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지지만, 취업능력의 제고를 통한 안정적인 일자리로의 재취업이라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수행에는 아직 미흡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