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Sasang" in the I Ching and Its Relationship to the Sasang Medicine

주역의 '사상'과 사상의학의 '사상'의 연관성에 관한 고찰

  • Lee, Sung-hwan (Kwang 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Ki-hyon (Department of Oriental Medicine, Emperor'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Purpose : Many believe that the Sasang mentioned in the I Ching and the Sasang of Sasang Medicine (as expounded by Dr. Lee Je-ma in the book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Oriental Medicine) refer to different concepts. This is untru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ought patterns of Dr. Lee Je-ma and his book,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the concepts of the I Ching. The I Ching was the most respected text in Dr. Lee Je-ma time, and served as the foundation upon which his medicine stoo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asang in the I Ching and how it applies to the Sasang medicine. Method : The authors first defined the term Sasang according to the theory of I Ching. It was then discussed in relation to theories of modern science. Inferences were made as to how Sasang corresponds to the terminologies and concepts of modern science. The characteristics of Sasang interpreted through modern science were then applied to the physiology, pathology and pharmacology of Sasang Medicine. Results and Conclusion : 1. The Sasang theory of the I Ching organizes seemingly random and isolated natural phenomena into four distinct groups according to various attributes.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s representing each of these four categories are known as Sasang. 2. The Sasang theory of I Ching has a strong correlation to the Theory of Relativity and the Theory of Complementarity, as well as the Digital and Fractal Theories. 3. By applying the Sasang Theory to various fields, the seemingly unrelated principles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medicine can be seen as parts of a whole. 4. Sasang Medicine categorizes human morphology, physiology and pharmacology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defined by the Sasang Theory of the I Ching. 5. Grouping new discoveries of modern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medicine according to the Sasang Theory will bring to light the intricacies of the Sasang Theory while facilitating the incorporation of modern science into Sasang Medicine.

1. 연구배경 : 사상의학의 '사상'은 주역의 '사상'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주역이 난해하다면 사상의학의 원전인 "동의수세보원"도 난해하기 때문에 주역의 사상과 사상의학의 사상이 다르다고 생각하는 견해가 많다. 따라서 사상의학의 창시자인 이제마 선생의 생각과 "동의수세보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시대의 기초학문인 주역을 공부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그 공부를 바탕으로 사상의 의미를 이해하여 그것이 사상의학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 먼저 "사상" 이라는 개념을 주역의 이론으로 밝혔다. 그리고 현대과학에 사상을 비교하여 상호 연관성을 유추하였다. 이렇게 이해된 '사상'이 사상의학의 생리, 병리, 약리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3. 연구 결과와 결론 : 1. 주역의 '사상'은 우주, 인체, 윤리 등의 독립된 개체를 전체로 놓고 그 대표되는 특성의 차이에 따라 4가지 상으로 나뉘었다. 2. 주역의 사상은 현대과학의 상대성이론, 상보성이론, Digital 이론, Fractal 이론 등에 해당된다. 3. 현대 과학의 각 분야인 물리, 화학, 생물, 의학은 각기 다른 분야로서 일관된 연관성을 찾을 수 없어 보인다. 그러나 여기에 주역의 사상을 등장시킴으로서 현대과학의 각 분야들의 전체적인 상호 연관관계를 찾게 됨을 알 수 있다. 4. 사상의학은 인간의 체질, 생리, 병리, 약리 작용들을 주역의 사상이 갖고있는 4가지 특성에 따라서 4가지 group으로 구분하였다. 5. 사상의 각 특성을 알리기 위해서 현대물리, 화학, 생물, 의학의 새로운 사실들을 사상에 따라 group화하는 연습을 하는 것은 현대과학을 사상의학에 도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고 사상의학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訂正 易經來註圖解 鄭燦
  2. 격치고 이제마
  3. 격치고 이제마
  4. 동의수세보원주석 한동석
  5. 격치고 이제마
  6. The World Book Encyclopedia v.6
  7. 中和集 李淸菴
  8. 격치고 이제마
  9. 동의보감 허준
  10. 동의수세보원주석 한동석
  11. 격치고 이제마
  12. 동의수세보원주석 한동석
  13. 격치고 이제마
  14. 우주변화의 원리 한동석
  15. Physics in the 20th Century Suplee, Cu.
  16. Physical Forces Galan
  17. The Holographic Universe Talbot, Mi.
  18. Microsoft Encarta Encyclopedia;Quantum Physics
  19. Matter and Energy Clark
  20. 동의수세보원주석 한동석
  21. 조선후기 성리학 유명종
  22. 중국의 과학 야부우찌 기요시
  23.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카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