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und Characteristic and Sasang Constitution by Laryngograph, EGG

Laryngograph와 EGG를 이용한 음향특성(音響特性)과 사상체질간(四象體質間)의 상관성(相關性) 연구(硏究)

  • Kim, Sun-hyung (Dep.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 ;
  • Shin, Mi-ran (Dep.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 ;
  • Kim, Dal-rae (Dep.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 ;
  • Kwon, Ki-rok
  • 김선형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교실) ;
  • 신미란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교실) ;
  • 김달래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교실) ;
  • 권기록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lassifying Sasang Constitution through correlation with Larynx waveform. This study was done it under the suppose that Sasang Constitution would be correlation with Larynx waveform.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about correlation between Erectroglottograph waveform and Sasang Constitution by analysis EGG program. 1. Taeumin was lower than Soyangin in Open Std Deviation, Contact Std Deviation of male/a/(0.5sec) 2. Soeyangin was high compared with the others in Pitch range of maie/a/(2.5sec) 3. Taeumin was higher than Soeumin in Pitch range, Soeyangin in pitch Maximum, and the others in Pitch Std Deviation of female/e/(0.5sec) 4. Taeumin was higher than Soeumin in Contact Maximum and lower than Soeumin in Contact Maximum of female/a/(2.5sec) 5.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male/e/(0.5sec), male/e/(2.5sce), female/a/(0.5sec), female/e/(2.5sec) 6. The percent of correctly classified in Soeoumin and Taeumin was high in CART Algolism. The risk estimate of Soyangin was relatively high. The study may be use on of the method to make objective diagnosis in Sasang constitution.

1. 연구목적 한의학에서 음성을 듣고 환자의 상태를 알아내는 것은 문진에 해당되며 이는 내경시대부터 응용되어 왔다. "동의수세보원"에서도 말하는 기운이 각 체질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각 체질별 장국의 차이에 의해서 호산지기(呼散之氣) 흡취지기(吸聚之氣) 납적지기(納積之氣) 출방지기(出放之氣)등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또한 음성과 성대진동의 기본이 되는 공기의 흐름과도 연관이 있다. 한의학에서 성음을 통하여 사람에 관한 많은 것을 알 수 있다고 했는데, 여기서 논하는 성음의 개념은 매우 추상적이라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기도 어렵고, 또한 임상연구에 응용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음성을 수치, 그래프, 스펙트럼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기록, 재생,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여기서는 음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 중의하나인 성대의 진동이 사상체질 진단의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2.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들을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II)와 사상의학 전문가가 체질을 분류한다. (2) 체질별로 CSL(Cmputerized Speech Lab)과 Laryngograph, Micrphone을 사용하여 음성과 성대진동양상을 녹취한다. (3) EEG processing option으로 녹취한 파형을 분석한다. (4) 분석한 항목을 통계 처리하여 항목별로 유의성을 살펴본다. 3. 연구결과 성대진동을 보여주는 EGG Waveform의 분석결과와 체질간의 상관성은 아래와 같다. 1. 남자/a/(0.5초)에서는 태음인보다 소양인의 Open Std Deviation, Contact Std Deviation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남자/a/(2.5초)에서는 소음인과 태음인보다 소양인의 Pitch range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여자/e/(0.5초)에서는 소음인보다 태음인의 Pitch range가 더 높은 것으로, 소양인보다 태음인의 Pitch Maximum이 더 높은 것으로, 소음인 소양인보다 태음인의 Pitch Std Deviation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여자/a/(2.5초)에서는 소음인보다 태음인의 Contact Maximum이 더 높은 것으로, 태음인 보다 소음인의 Open mean, Open Miximum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남자/e/(0.5초), 남자/e/(2.5초), 여자/a/(0.5초), 여자/e/(2.5초)에서는 체질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6. CART Algolism에서는 전체적으로 소음인과 태음인의 정판별력이 높았고, 소양인은 비교적 오차율이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동의수세보원 이제마
  2. 사상의학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3. 사상의학학회지 v.8 no.1 체질진단분류에 따른 질병 및 병증유형에 관한 임상적연구(문진표를 중심으로) 김종원
  4. 사상의학학회지 v.8 no.1 설문지를 통한 사상체질의 임상적분류방안의 연구
  5. 사상의학학회지 v.5 no.1 사상체질분류검사의 타당화 연구 김선호(외)
  6. 사상의학학회지 v.8 no.1 사상체질분류검사지의 타당화 연구 이연걸(외)
  7. 사상의학학회지 v.8 no.1 신체계측 및 검사소견을 중심으로한 사상인 특징에 관한 연구 이수경(외)
  8. 사상의학학회지 v.10 no.1 사상체질진단의 객관화를 위한 형태학적연구 홍석철(외)
  9. 사상의학학회지 v.10 no.1 사상체질 유형과 지문, 손바닥문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박성식(외)
  10. 사상의학학회지 v.5 no.1 체질별 혈청지질성분의 분석에 관한 실험적 고찰 김달래(외)
  11. 사상의학학회지 v.10 no.1 성문분석법에 의한 사상체질 진단의 객관화 연구(I) 김달래(외)
  12. 사상의학회지 v.11 no.1 CSL을 통한 음향특성과 사상체질간의 상관성연구 신미란(외)
  13. 사상의학회지 v.10 no.1 사상체질과 유전학 조황성
  14. 사상의학회지 v.7 no.2 적외선 체열 촬영을 이용한 체질판별의 특징 파라메터의 추출 조봉관
  15. 한방진단학 이봉교(등 공역)
  16. 동의안이비인후과학 채병윤
  17. 황제내경소문역해 양유걸(編)
  18. 동의수세보원 이제마
  19. 황제내경영추역해 양유걸(編)
  20. 음성과학 v.4 Electrogrottography를 사용한 한국어 폐쇄자음의 특성 및 임상적 적용 채윤정(외)
  21. SPSS/PC+를 이용한 보건 통계학 박종구;장세진
  22.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분석 최종후
  23. 음악과 한의학 한의학 연구원 임상연구실(編)
  24. 논어 요왈편 장기근(譯)
  25. 동의수세보원 초고 중사상임해지남 김구익(編);김달래(譯)
  26. 중의체질학 왕기(主編);김달래(譯)
  27. 음성언어의 이해 고도흥(외)
  28. 음성검사법(임상편) 일본음성언어의학회(編);안희영(譯)
  29. 실험음성학 논문집 I 라링고그라프에 의한 한국인의 성문파형분석 및 합성모음의 청각실험 양병곤
  30. 후두와 성도의 해부 생리 및 병리 정광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