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ublication of the Mukujeonggwang Dae Darani Gyeong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陁羅尼經)』의 간행(刊行)에 대하여

  • 박상국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This research paper has examined the question of the year of the publication of the wood block print, Mukujeonggwang Dae Darani Gyeong(Pure light Dharani Sutra). Published in Korea sometime before 751, it is known to be the oldest existing document printed with wood blocks in the world. Recently, a Chinese scholar claimed that this sutra was translated into Chinese in 701 and printed in Reoyang, China, in 702. These claims have lead to international symposiums and research papers on the Mukujeonggwang Dae Darani Gyeong. However, although diverse opinions and research were presented by various scholars, they all seem to be far fetched and do not answer the essential question of the sutra. The evidence in historic records shows that the translation into Chinese was done in 704 and not in 701. After it was translated into Chinese, it came to Korea and was printed with wood blocks. When Sokkatap was built in 751, a copy was placed in the pagoda. Moreover, the inscription on the sarira casket states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agoda was based on the theory of Jotapsasang contained in the sutra. Thus this proves that Mukujeonggwang Dae Darani Gyeong had to have been printed before 751.

이 논문은 1966년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목판본의 간행연도에 관한 연구이다. 이 다라니경은 한국에서 간행된 현존 세계 최고의 인쇄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에 중국의 한 학자는 이 다라니경이 701년에 한역(漢譯)되고 702년에 중국 뤄양(낙양(洛陽))에서 인쇄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를 계기로 국제학술심포지엄 등이 열리는 등 최근 몇년 동안 다리니경에 대한 연구 논문이 집중적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학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제기됐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혼란을 초래한 논문도 많았다. 이 논문에서는 이 다라니경이 704년에 한역(漢譯)되었기 때문에 한역과 간행 연도에 대해 국내 학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든 중국학자의 주장이 잘못되었음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경전의 내용과 사리구(舍利具)의 명문에서 이 다리니경은 통일신라시대 탑을 만드는데 기본경전으로서의 기능을 한 것이었음을 밝혔다. 그러므로 석가탑 역시 이 다리니경의 조탑(造塔) 사상(思想)에 의해 조성되었고 이 다라니경은 석가탑 건립(751년)이 계기가 되어 간행된 목판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