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the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during Fermentation

고오지 종류에 따른 식혜 고추장의 숙성중 미생물 및 효소 역가의 변화

  • Shin, Dong-Hwa (Faculty of Biotechnology(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Ahn, Eun-Young (Faculty of Biotechnology(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Suk (Faculty of Biotechnology(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Oh, Ji-Young (Faculty of Biotechnology(Food Science and Techn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신동화 (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식품공학)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안은영 (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식품공학)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김용석 (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식품공학)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오지영 (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식품공학)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1.02.28

Abstract

Kochujangs(fermented hot pepper-soybean paste) were prepared either using traditional meju (koji for kochujang) or controlled meju fermented by pure isolates (P-1, P-2), which were screened from traditional meju collected at Sunchang area. The isolates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superiority on amylase and protease activities, and overall flavor of the culture on cooked soybean. Bacterial cell counts were not different in all treatments of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The mold counts of each treatment dropped to undetectable level after 40 and 60 days of fermentation, respectively. Heat treatment($60^{\circ}C$, 15 min) before fermentation stopped gas formation and had no effect on bacterial cell count, but the growth of yeast was depressed. Total accumulative volume of gas produced during kochujang fermentation was depended on load of yeast in kochujang and the kochujang using P-2 koji produced least amount of gas among all treatments. The amylase and protease activities of kochuja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aditional and controlled kochujangs.

전통 고추장의 품질개선을 위하여 고추장에 전통메주와 전통 메주에서 분리된 우수 균주를 접종한 고오지를 일정비율로 첨가하고 일부 시료는 가열처리하여 저장하면서 고추장의 미생물 및 효소역가를 분석하였다. 세균수는 전체적으로 발효 40일째 약간 증가하였으며 처리구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고 곰팡이는 계속 감소하여 처리구에 따라 발효 40일 또는 60일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고 효모는 P-1 고오지 함량이 많은 처리구일수록 적은 수가 검출되었고, 열처리에 의해서 효모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고추장 숙성 중 발생한 가스의 누적량은 효모의 증식경향과 일치하였는데 전통메주 첨가시 가장 많았고 P-1 고오지 첨가시 가장 적었으며 열처리구는 발효기간 내내 가스가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고추장 숙성 중 효소는 ${\alpha}-amylase$ 경우 전체적으로 활성이 매우 낮았으며, ${\beta}-amylase$는 처리구에 따라 불규칙한 경향을 보이면서 전반적으로 전통메주 첨가구(CON)와 전통메주와 P-2 고오지 첨가구(MKP2)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낮은 활성을 보였다. 산성 protease 활성도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다가 발효 100일째 활성이 최대였고, 중성 protease는 발효 60일까지 증가하다 점점 감소하였고 두 효소 모두 처리구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고추장에 선발 균주를 접종한 고오지를 첨가하였을 때 세균 및 곰팡이수, 효소역가는 전통 메주를 사용할 때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효모 생성과 가스 발생 억제에는 매우 효과적이므로 고추장 발효 관리의 한 수단으로 미생물 관리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