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출 성분의 장관면역 자극을 통한 골수세포 증식활성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ctivity through Intestinal Immune System by the Components of Atractylodes lancea DC.

  • 발행 : 2001.02.28

초록

십전대보탕의 10가지 구성 천연물을 열수추출하여 장관면역 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ALR)과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PG)에서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약한 활성을 갖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ues, ASR)와 당귀(Angelica aculiloba Kitagawa, AR)를 제외하고는 어떤 생약에서도 거의 활성을 갖지 않았다. 한편 이러한 활성을 가진 생약(ALR, PG와 ASR) 중에서도 특히 ALR만이 종류, 생산지 및 육종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높은 활성을 보여주어 창출의 열수추출물 획분(ALR-0)이 십전대보탕의 장관면역 활성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시료로 선정되었다. ALR-0 획분은 다시 용매별로 분획되어 메탄올-가용성 획분(ALR-1), 메탄올-불용성/에탄올-가용성 획분(ALR-2) 및 조다당 획분(ALR-3)으로 조제되었으며 이들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지 ALR-3 획분만이 Peyer's patch를 통한 골수세포의 증식을 활성화시키는 장관면역 활성을 시료농도에 의존적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외의 획분에는 활성이 거의 없었다. 한편 ALR-3 획분을 $NaIO_4,\;NaClO_2$ 및 pronase로 처리한 후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군에서 활성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periodate 산화에 의해 심한 활성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십전대보탕의 장관면역 활성은 10종의 생약 중에서도 특히 창출이 중요하게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용매별 분획을 통해 저분자보다는 에탄올에 침전된 고분자가 주요 함유물질인 조다당 획분이 장관면역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periodate 산화에 의해 활성이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주로 다당류가 창출의 장관면역에 중요한 활성물질인 것으로 생각된다.

Of hot-water extracts prepared from 10 herbal components of Sip-Jeon-Dae-Bo-Tang, Atractylodes lancea DC. (ALR) and Panax ginseng C.A. Meyer (PG) showed the most potent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activity through intestinal immune system whereas other extracts did not have the activity except for Astragalus membranacues Bunge (ASR) a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AR) having low activity. Especially, ALR had the potent activity irrespective of classes of ALR, a place of production and the condition of breed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hot-water extract from Atractylodes lancea DC rhizomes (ALR-0) contributed mainly to Peyer's patch cells mediated-hematopoietic response of Sip-Jeon-Dae-Bo-Tang. ALR-0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MeOH-soluble fraction (ALR-1), MeOH-insoluble and EtOH-soluble fraction (ALR-2), and the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ALR-3). Among these fractions, only ALR-3 showed potent stimulating activity for proliferation of bone marrow cells mediated by Peyer's patch cells, dose-dependently. In treatments of ALR-3 with $NaIO_4,\;NaClO_2$ and pronase, all significantly reduced the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activity of ALR-3, and the activity of ALR-3 was much affected by $NaIO_4$ oxidation particularly. These results reveal that macromolecules, such as polysaccharide, rather than low-molecular-weight substances, are the potent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compound of AL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