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de open lateral cephalogram을 이용한 하악골 성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ROWTH OF THE MANDIBLE USING WIDE OPEN LATERAL CEPHALOGRAM

  • 문성욱 (경희 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박영국 (경희 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정규림 (경희 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Moon, Sung-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Park, Young-G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Chung, Kyu-Rhim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발행 : 2001.02.01

초록

교정치료를 함에 있어 하악골의 모양, 성장률, 성장방향에 대한 예측은 치료계획의 수립 및 치료기간과 예후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 되어왔고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함으로써 좀 더 정확성을 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해부학적인 구조의 특성상 하악과두 부위에서 중첩이 발생하여 정확한 형태 및 위치의 측정에 의문이 남는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하악과두 부위에서 중첩을 피하여 좀 더 정확한 하악골의 형태 및 성장양상을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 연구는 1급 부정교합군 14명, 2급 부정교합군 9명, 3급 부정교합군 17명, 총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4년 3개월의 기간을 두고 최대개구상태의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Wide Open lateral cephalogram)을 촬영하여 11개의 계측항목을 설정, 계측하였고 Autocad Rl4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적인 외형을 작도하고 측면적을 계측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하악체의 길이(gonion-menton)는 3급, 1급, 2급 순으로 증가추세를 보였고 3급 부정교합군이 2급 부정교합군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는 3급 부정교합군과 1급 부정교합군, 2급 부정교합군과 1급 부정교합군 사이에는 유의성이 있었고 3급 부정교합군과 2급 부정교합군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Go-Me, A-Cd, B-Cp, E-F, G-H, 측면적의 항목에서 연 평균 성장량, 성장속도 들에서 3급 부정교합군에서 많은 증가를 보이고 특히 2급 부정교합군에 비해서는 명확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3. 평균 4년 3개월 동안의 하악골 측면적의 연 평균 성장량은 1급 부정교합군이 $1.0cm^2$, 2급 부정교합군이 $0.8cm^2$, 3급 부정교합군이 $1.4cm^2$이고 성장율은 $11.9\%,\;11.8\%,\;20.3\%$로 1급 부정 교합군과 2급 부정교합군에서는 별 차이가 보이지 않았고 3급 부정교합군에서는 다른 두 군에 비해 2배에 가까운 성장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부정교합의 유형에 따른 하악골의 성장량의 차는 선천적인 악골의 크기에 의해서 라기 보다는 성장 중 발생하는 하악골의 성장속도와 성장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In proceeding with orthodontic treatment, the prediction for the shape, growth rate and growth direction of mandible plays a major role to set up the treatment plan and determine its period and prognosis. Various approaches being made so far have shown that the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 using lateral cephalograms are relatively accurate to estimate them. This study was purposed to find the shape of mandible more clearly by preventing the overlap of the Condyle head area which appears in lateral cephalogram, and to estimate its growth rate by comparing the growth quantity and ratio via lateral area measurement. This experimental was performed against 40 patients total, of which Class I of 14, Class II of 9 and Class III of 17 consist. Wide open lateral cephalograms of 40 patients were taken over average period of 4 Year 3 Months, then the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with 11 itemized lists. Autocad Rl4 application program was utilized to draw their appearance, measure and compare their lateral area. As a result of study,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1. Mandibular body length (gonion-menton) tended to increase in order of CIII, CI and CII, and Mandibular body length of CIII group had a tendency to grow twice faster than that of CII group. 2. In lateral items such as Go-Me, A-Cd, B-Cp, E-F and G-H, CIII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n the year-average quantity and rate of the growth, and especially appare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III group rather than CII group. 3. For the 4 Year 3 Months period, the year-average growth quantity of lateral area of the mandible was $1.0cm^2$ for Class I, $0.8cm^2$ for Class II and $1.4cm^2$ for Class III, which corresponds to $11.9\%,\;11.8\%\;and\;20.3\%$ of growth ratio respectively. Thus, growth ratio almost 2 times more than other groups was observed in group CIII while growth ratio between group CI and CII has little difference. 4. Considering the results as above, it can be proposed that the difference in size of the mandible between groups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growth rate and growth quantity of the mandible, which generated in the middle of growth, rather than the difference in size of congenital Jaw-bon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