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kle Arthroscopy for Occult Injuries in the Acute Ankle Fracture

급성 족 관절 골절에서 잠재 손상에 대한 족 관절경

  • Choi Chong-Hy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Yong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ang Kyu-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Yong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Seong-Ji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Yong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최종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
  • 양규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
  • 박성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Purpose : To identify occult intra-articular pathologies in the acute ankle fracture using arthroscopy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o predict its possibility of occult injuries that could be occurred. Materials and Methods : This prospective study included fifty patients who got operation for the ankle fractures. Ankle arthroscopy was performed to document the type and anatomical location of occult lesion.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incidence of occult injuries and specific fracture type. Results : Of fifty ankles, 37 ankles had occult lesion. Twenty five loose bodies including displaced fragments were found and various cartilage lesions were found in 31 ankles. Tibial avulsion fragment by anterior 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was occurred in 6 case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of occult lesion and various factors including age, sex, injury mechanism and fracture type(p>0.05). Conclusion : The ankle arthroscopy had an effective role for the detection and treatment of occult injuries and it was difficult to predict the occurrence or associated accurately in all of th ankle fractures.

목적 : 급성 족 관절 골절에서 족 관절경을 이용하여 관절내 잠재 손상의 관찰 및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50명의 전위가 심하지 않은 급성 족 관절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인 방법으로, 족 관절경을 시행하여 관절내 각 부위에서의 잠재 손상의 종류를 조사하였으며, 족 관절 골절을 Lauge-Hansen, AO 및 골절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분류하여 특정한 유형에서 잠재 손상의 빈도가 증가되는가를 관찰하였다. 결과 : 50례의 족 관절 골절 중 37례에서 잠재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전위된 골편을 포함한 유리체가 25례에서 관찰되었고, 31례에서 다양한 종류의 연골 손상이 관찰되었다. 방사선 사진상 관찰되지 않는 잠재 골절이 3례에서, 전하 경비 인대의 경골 부착부에서의 견열 골편이 6례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환자의 연령, 성별, 수상기전 및 족 관절 골절의 여러 유형과 잠재 손상 발생 빈도와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p>0.05). 결론 : 단순 족 관절 골절에서 다양한 종류의 잠재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족 관절경은 잠재 손상의 관찰뿐만 아니라 그 치료에도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되었으나, 족 관절 골절에서 잠재 손상의 발생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려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