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hroscopic Repair of the Postero-medial or Postero-lateral Capsule Tear in the Knee Joint - Technical Note -

슬관절 후내측 혹은 후외측 관절막 파열의 관절경적 봉합술 - 수술 수기 -

  • Ahn Jin-Hwa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o Yang-Bum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Yong-Seu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안진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조양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이용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Purpose : Repair of the posterior capsule tear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for the chronic postero-lateral or postero-medial rotary instability has not been reported. We describe the arthroscopic repair of the posterior capsule tear using the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Method : After conducting basic arthroscopic examination of the knee, postero-medial and postero-lateral portals are secure to make the posterior trans-septal portal, through which the postero-medial and postero-lateral capsule tears are repaired using the suture hook under the arthroscopic guidance. Conclusion : When arthroscopic reconstruction of PCL insufficiency or postero-lateral rotaty instability that accompanies postero-medial or postero-lateral capsular tears. rising the posterior traits-septal portal could ensure better visualization of the capsule and a subsequent more accurate repair of the capsule. Since it significantly lessened instability, it could contribute to an achievement of successful clinical results.

목적 : 진구성 후방, 후외측 또는 후내측 회전 불안정성에 대한 수술시 후방 관절막 파열을 발견할 수는 있으나 이에 관한 관절경적 치료 방법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다. 저자들은 후내측 또는 후외측 관절막 파열을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한 새로운 관절경적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슬관절의 관절경적 기본검사 후, 후내측 도달법과 후외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확보한 후 관절경적 시야 하에서 봉합용 갈고리를 이용하여 파열된 후내측 또는 후외 측 관절막을 봉합한다. 결론 : 후방 십자인대 재건술 또는 후외측 회전 불안정성에 대한 재건술시, 후내측 또는 후외측 관절막 파열을 후방 경격막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경적 봉합술은, 충분한 시야 확보로 파열된 관절막을 정확히 봉합할 수 있었으며 불안정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수기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