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로이드에 반응을 보인 신증후군 환아에서 재발 예측인자로서 고지혈증의 중요성

The Significance of Hyperlipidemia as a Predictive Factor of Relapse in Corticosensitive Nephrotic Syndrome

  • 정순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홍순철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임성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임인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응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Jung, Soon-Pil (Department of Pediatrics,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ong, Soon-Cheul (Department of Pediatrics,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Seong-Joon (Department of Pediatrics,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In-Seok (Department of Pediatrics,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Eung-Sang (Department of Pediatrics,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1.10.01

초록

목 적 : 신증후군 환아의 궁극적인 예후는 양호하지만 치료시의 어려움은 빈번한 재발이다. 스테로이드에 반응을 보였던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 가능성의 예측인자에 대한 여러 보고가 있었는데 최근에는 스테로이드에 반응을 보이는 신증후군 환아에서 관해기까지의 기간이 짧을수록 재발의 빈도가 의미 있게 적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증후군으로 처음 진단 후 스테로이드에 반응을 보였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 전의 고지혈증의 정도와 환아의 신기능 및 관해 유도기간과의 연관성을 검증하여, 고지혈증이 관해유도의 지연 혹은 빈발 재발 환자를 조기에 선별하여 예측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0월부터 2000넌 8월까지 본원 소아과에서 입원했던 환아들 중 처음으로 신증후군으로 진단된 후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을 보였던 3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입원 및 외래 기록지를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모든 대상 환아에서 고지혈증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이중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poB, Lp(a),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은 증가하였으나 HDL cholesteol은 증가하지 않았다.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 전의 혈청 알부민은 $1.7{\pm}0.8\;g/dL$의 감소되었고 단백뇨는 $3.8{\pm}3.2\;g/24hr$로 증가보이나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121.7{\pm}47.7\;mL/min/1.73m^2$로 감소되지 않았으며 스테로이드 사용 후 관해 유도기간은 $15.6{\pm}11.0일$이 필요했다. 혈청 알부민은 total cholesterol (r = -0.5157, P<0.005), LDL cholesterol (r = -0.5543, P<0.005),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 (r = -0.4506, P<0.01), Lp(a) (r = -0.4570, P<0.025), apoB (r = -0.5297, P<0.025), apoB/apoAl (r = -0.5851, P<0.01), apoB/HDL cholesterol (r = -0.4961, P<0.05)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단백뇨와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 전 혈청지질, 지단백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관해 유도기간은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 전 HDL cholesterol (r = +0.4511, P<0.05), apoB (r = +0.5190, P<0.05), apoB/HDL cholesterol (r = +0.7169, P<0.005)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신증후군의 특징인 고지혈증은 서로 다른 경과의 신증후군, 서로 다른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지질대사 과정에 다양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의해 각각의 지질 및 지단백의 상승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런 지질 및 지단백의 상승은 주로 간에서 생성의 증가의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단백중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전의 HDL cholesterol, apoB, apoB/HDL cholesterol등은 관해 유도기간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을 예측 할 수 있는 지표로서 임상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in the care of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remains the occurrence of relapses, despite initial response to steroids. Constantinescu reported that rapidity of initial response to steroid therapy could predict fewer relapses in the first year. So we evaluated the changes in serum lipid abnormalities in children with corticosensitive nephrotic syndrome before steroid treatm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lipid levels and renal function, days to remission. Methods . We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children who were managed by us between October 1994 and August 2000. In 33 patients with corticosensitive nephrotic syndrome,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lipid levels and renal function [Creatinine clearance(Ccr)] and proteinuria before steroid treatment, and days to remission defined as the third day when the patient's urine becomes protein free. Results : There were 21 males and 12 females. Median age at presentation was 6.4 years (range: 1.8-17.3 years). Median days to remission were 15.4 days (range 4-42 days) on Prednisolone $60mg/m^2$ daily. The increased levels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apolipoprotein B,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 Lipoprotein(a) were observed. But the level of HDL cholesterol was not increased. Serum albumin was decreased a]id proteinuria was increased before steroid treatment. But Ccr was not decrease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albumin and total cholesterol (r = -0.5157, P<0.005), LDL cholesterol (r = -0.5543, P<0.005),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 (r = -0.4506, P<0.01), lipoprotein(a) (r = -0.4570, P<0.025), apolipoprotein B (r = -0.5297, P<0.025), apolipoprotein B/apolipoprotein Al (r = -0.5851, P<0.01), apolipoprotein B/HDL cholesterol (r = -0.4961, P<0.05) before steroid treatmen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roteinuria and serum lipid profiles. Also Ccr and serum lipid profiles were not correlate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ays to remission and HDL cholesterol (r = +0.4511, P<0.05), apolipoprotein B (r = +0.5190, P<0.05), apolipoprotein B/HDL cholesterol (r = +0.7169, P<0.005). Conclusions : This results reveal that HDL cholesterol, apolipoprotein B and apolipoprotein B/HDL cholesterol can be used as a predictive factor in corticosensitive nephrotic syndrome. We could not determine the significant level of these lipids for insufficient patients number, but these level may predict future relapses of corticosensitive nephrotic syndrome patients and thus may allow to better management and treatment protocols. More data and long term follow up studies should be needed.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1;5 : 136-46)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