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Factor's Affecting long-term Outcome of Alport syndrome

Alport 증후군의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 분석

  • Byun Ji-Yoon (Departments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Baek Seoung-Yon (Departments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Young-Mock (Departments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i-Hong (Departments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ae Seung (Departments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Pyung-Kil (Departments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ong Soon-Won (Departments of Pathology,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Hyeon-Joo (Departments of Pathology,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oon-Il (Departments of Surgery,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u-Seun (Departments of Surgery,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Ki-Il (Departments of Surgery,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변지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백승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이영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김지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이재승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김병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홍순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정현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김순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김유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박기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Published : 2001.10.01

Abstract

Purpose : Alport syndrome is a hereditary nephrotic disease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nephrotic symptom, sensorineural hearing loss, ophthalmic abnormality, typical microscopic findings, and familial occurrenc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risk factors related with its prognosis by taking a close observation on clinical symptoms of children with Alport syndrome reviewing retrospectively. Materials & methods : We chose children diagnosed as Alport syndrome in renal biopsy during 20 years(from 1980, Jan. until 1999, Dec.) who could receive follow up studies in tile department of pediatric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comparing renal function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at current status. We compared several clinical aspects in them, and applied nonparametric test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The sex ratio(male:female) of 24 children was 3:1. The most common clinical symptom presented at their first visit was gross hematuria. Among those 24 children, 11 cases($46\%$) of progressing into chronic renal failure(Group II) were observed. Hypertension, proteinuria and edema were seen much frequently in group II. The level of serum protein, albumin, and creatinine clearance were decreased while BUN, creatinine were relatively increased. All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Clin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related to prognosis in Alport syndrome were the presence of hypertension, edema, and proteinuria at the time of diagnosis. Also, the level of serum protein, albumin, BUN, creatinine,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 were proved to b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prognosis. We believe that studies on these possible risk factors would be of great help in treating and predicting prognosis of children suffering with Alport syndrome.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1;5 : 164-75)

목 적 ; Alport 증후군은 1927년 Alport에 의해 처음 보고된 유전성 신질환으로 전신적으로 기저막에 영향을 미쳐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신질환과 감각신경성 난청, 눈의 이상, 전자현미경상 특징적 소견,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가족력 동반을 특징으로 한다. 저자들은 Alport 증후군 환아의 임상적 특징을 중심으로 관찰하여 이 질환의 예후에 관련된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0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0년동안 소아과에서 시행한 신장조직검사에서 Alport 증후군으로 진단 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내원 당시와 현재의 신장기능을 비교하여 현재까지 정상의 신장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군(Group I)과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한 군(Group II)으로 나누어 Group I과 Group II간의 여러 가지 임상양상을 비교하였으며 통계학적 방법으로는 비모수검정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 24명의 환아 중 남녀의 비는 3:1이였고 신증상 발현시의 연령은 평균 $5.2{\pm}3.6세$였으며 내원 당시 나이는 평균 $7.8{\pm}4.4세$였다. 처음 내원 당시의 주증상은 육안적 혈뇨가 15예($62\%$)로 가장 많았고, 진단 당시의 환아들의 임상양상으로는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17예($70\%$), 육안적 혈뇨는 18예($75\%$), 단백뇨가 있었던 경우가 14예($58\%$), 부종은 14예($58\%$), 고혈압은 6예($25\%$)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24명의 환아 중 만성신부전으로 진행된 경우는 11예($46\%$)였고, 이 중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되어 신장이식 후 관찰 중인 경우가 7예($29\%$) 있었다. 청각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12예($50\%$)였으며, 안과적 정밀검사상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5예($21\%$)였다. 신증상 발현이후 계속해서 신장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집단을 Group I(n=13),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한 집단을 Group II(n=11)라고 할 때, 이 두 집단 사이의 진단당시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보면 고혈압, 단백뇨 및 부종의 빈도가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임상병리검사 소견에서는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creatinine 청소율이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고, BUN, creatinine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Alport 증후군 환아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진단시의 고혈압, 부종, 단백뇨 유무 여부와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BUN, creatinine, 사구체 여과율이 중요하며, 이런 가능한 위험요인의 분석과 관찰이 Alport 증후군 환아의 치료와 예후 인지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