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적 스테로이드 사용 중 발생한 열공성 망막박리 1례

A Case of Rhe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in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during Systemic Corticosteroid Therapy

  • 김주예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학교실) ;
  • 김지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학교실) ;
  • 조병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학교실) ;
  • 유승영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안과학교실) ;
  • 곽형우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안과학교실)
  • Kim, Ju-Ye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i-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Byung-Soo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u, Seung-Young (Department of Ophthalmology,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wak, Hyung-Woo (Department of Ophthalmology, Kyung-He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1.10.01

초록

망막박리증은 소아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이나 스테로이드를 사용한 환아에서 장액성 망막박리가 발생한 경우가 국내외에서 종종 보고되고 있다. 신증후군으로 전신적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던 환아에서 양안에 열공성 망막박리가 발생하여 우안에는 레이저 치료를 좌안에는 공막돌륭술을 시행하였던 1례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Retinal detachment is a rare disease in children but cases of serous retinal detachment due to use of systemic corticosteroids have been reported in and out country Rhe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has developed in a child with oral and steroid pulse therapy due to nephrotic syndrome. He was treated with laser and buckling in right and left eye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under observation through the out patient department.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1 ; 5 : 210-12)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