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similarities between VDT syndrome and Kyunbitong (jianbeitong, 肩臂痛) on the ground of medical records

VDT 증후군(症候群)과 견비통(肩臂痛)의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을 통(通)한 상관성(相關性) 연구(硏究)

  • Song, In-Gwang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Gap-Sung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Lee, Seung-Deok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송인광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김갑성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이승덕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Received : 2001.03.02
  • Accepted : 2001.03.29
  • Published : 2001.04.20

Abstract

Objects : This study is to be applied effectively to the acupuncture treatment for VDT syndrome. Methods : I referred to occidental and oriental medical records. Results and Conclusion : VDT syndrom is the concept focalizing work environment and labor load, and named all that symptoms according to excessive VDT works. The disorders of VDT syndrome is divided into 2 groups with muscaloskeletal disorders and non-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non-musculoskeletal disorders is secondly divided into 3 groups with visual disorders, stress disorders and others. The risk factor of VDT syndrome is divided 4 groups with repetitive acts, consistent works, uncomfortable work postures, unprofitable light environments, jobs needs for excessive power and mental or physical fatigues. In oriental medicine area, I apply VDT syndrome to Kyunbitong(jianbeitong, 肩臂痛) to base on similarities of the risk factors and disorders between VDT syndrome and Kyunbitong(jianbeitong, 肩臂痛), that is painful illness on shoulders, arms, hands and fingers. And, Kyunbitong(jianbeitong, 肩臂痛) is divided 3 groups into Susamuhm(shousanyin, 手三陰), Susamyang(shousanyang, 手三陽) and Joktaeyang(zutaiyang, 足太陽) on the ground of meridian. Disorders related to Kyunbitong(jianbeitong, 肩臂痛) is grounded on kyungmaek(Jingmai, 經脈) disorder called sidongbyung(shidongbing, 是動病) and sosaengbyung(suoshengbing, 所生病) and Kyungkeun(Jingjin,經筋) disorder related to Kyunbitong(jianbeitong, 肩臂痛).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is many similarities between VDT syndrome and Kyunbitong (jianbeitong, 肩臂痛). On acupuncture treatment, VDT syndrome can be applied to Kyunbitong(jianbeitong, 肩臂痛)'s on the basis of meridians, because of similarities of risk factors and disorders between VDT syndrome and Kyunbitong(jienbeitong, 肩臂痛).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산업의학회지 v.7 no.1 Cumulative Trauma Disorder- T -heir recognition and ergonomic intervention. 박동현
  2. Visual Display Terminals and Worker's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3. 대한한의학회지 v.2 no.2 肩臂痛의 針灸治療의 關한 臨床的 硏究 김경식
  4. 東醫寶鑑 허준
  5. 東洋醫學診斷要鑑 김정제
  6.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한의) 대한한의사협회
  7. 대한침구학회지 v.2 no.1 肩臂痛의 類型分類와 針灸治療穴의 東西醫學的 考察 김갑성
  8. 대한한의학회지 v.8 no.2 肩臂痛의 臨床的 考察 이동침;김갑성;안창범
  9. 대한의사협회지 v.42 no.8 VDT 증후군(영상표시단말기증후군) 김채찬
  10. 가정의학회지 v.20 no.9 영상표시 단말기 사용자의증상 관련 요인 김윤진;이상엽
  11. 산업보건 v.2 VDT 작업과 건강장해 산업보건편람
  12. 예방의학회지 v.24 no.3 VDT 증후군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연구 문재동;이민철;김병우
  13. VDT 작업환경 지침 연구 한국전산원
  14. 대한산업의학회지 v.10 no.4 VDT 업무가 근골격계 장애에 미치는 영향 김돈규;조수헌;한태륜;권호장;하미나;백남종
  15. 대한산업의학회지 v.1 no.2 여성 국제전화 교환원들에 있어서의 경견완장애 I, - 자각적 증상 박정일;조경환;이승한
  16. VDT 작업자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계열
  17. 경견완장애의 진단 과정에서 유병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분석 이경우
  18. VDT관련 누적외상질환 및 근전도의 고찰 한정수;이남식;안재용;민기식
  19. 대한산업의학회지 v.9 no.1 은행 창구 작업자(VDT 작업자)의 경견완장애자각 증상 호소을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임상혁;이윤근;조정진;손정일;송재철
  20. 대한산업의학회지 v.1 no.2 여성 국제 전화 교환원 들에 있어서의 경견완장애, II - 이학적 검사 조경환;박정일;이승한
  21. 대한산업의학회지 v.7 no.2 전자렌지 조립작업자에서 발생한 경견완증후군의 조사연구(II) - 진찰 및 검사소견을 중심으로 박종;김양옥;류소연;하상호;박병권
  22. 대한산업의학회지 v.8 no.1 VDT 작업자의 견관절 근육의 압통역치 신병순;박정일
  23. 대한안광학회지 v.3 no.1 VDT사용자의 시기능 불편과 굴절이상 서용원;최영준
  24. 대한안과학회지 v.38 no.8 VDT높낮이가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김장훈;강기태;조윤애
  25. 대한산업의학회지 v.10 no.2 VDT 작업자에서 어깨 근육장애와 혈청 CPK의 관련성 김수근;정해관
  26. 대한산업의학회지 v.9 no.1 VDT 작업자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계역;백기주;이중근;이연수;노재훈
  27. 대한산업의학희지 v.3 no.10 조절근점의 분포형 구정완;이자영;이승한
  28. Health Protection for Opelators of VDTs/CRTs, 1-16. Bergman, T.
  29. 노동부 고시 제 1997-8호 영상표시단말기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지침 노동부
  30. 직업성 혹사 증후군, 예방을 위한 지침서 신은철(역)
  31. VDT 작업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김돈균
  32. Scand J Work Environ Health. v.19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Bonger P.M.;Winter, C.R.;Hempier, M.A.J.;Hidebrandt, V.H.
  33. 대한산업의학회지 v.10 no.4 VDT 작업별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연구 주영수;권호장;김돈규;김재용;백남종;최홍렬;배인근;박종만;강종두;조수헌
  34. 산업보건 v.12 VDT 작업자의 근육골격계 장해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perators of Visual Display Terminals 백영한
  35. 대한산업의학회지 v.8 no.3 VDT 작업자에서 업무로 인한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가 근골격계 장애에 미치는 영향 권호장
  36. 대한한의학회지 v.8 no.1 肩臂痛에 대한 臨床的 觀察 채우석;이임근;이병렬
  37. 今釋黃帝內經素問 배병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