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운하용 바아지시스템의 수송효율에 관한 연구

On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of Barge System in Kyongin Canal

  • 이재욱 (인하대학교 선박해양공학과) ;
  • 김영훈 (목포대학교 선박해양공학과)
  • 발행 : 2001.02.01

초록

현재, 유럽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수송모델로서 바다와 강을 연계한 Sea-river 수송모델은 황해권 지역에서의 국내 외 화물수송과 여객수송에 있어 장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수송에 따른 국내 교통 혼잡문제와 극동아시아 국가의 화물량 증대로 인한 물류 문제의 개선을 위해 경인운하의 운항조건에 적합한 sea-river 연계 바아지선단의 수송모델을 제안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경인운하의 형상과 크기 등의 제한조건 등을 고려하여 바아지선단의 수송효율 측면의 경제성을 바탕으로 경인운하를 이용한 황해권의 sea-river 연계 수송모델로서 효율적인 바아지선단 구성의 표준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coastal transportation of the Yellow Sea is increasing due to the vastly expanding trade among countries surrounding the Yellow Sea. As the 50 percentages of the total domestic container transportation are concentrated o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he traffic congestion in the key land transportation routes brings about the weakening of the global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the efficient barge systems for sea-river shipping of the Han-river, the Kyongin canal and coastal ways of the Yellow Sea are considered based on the criterion of canal and cargo volumes. To find the efficient barge system of the model barge in the Kyongin canal. the transport efficiency factor and transport ability of each barge system with the variation of sailing speed and length are calculated.

키워드

참고문헌

  1. 수도권 수송체계 개선위한 경인운하 건설방안 해운산업연구원
  2.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new push boats Criqui,G.
  3. Maritime Technology v.10 Design and Economics of Integrated Tug-Barge System Giblon,R.P.;Tapscott,R.J.
  4. Jahrbuch der Schiffbantechnischen Gesellschaft 82 Band Weiterentwicklung bei Formwahl und Linienentwurf von binnenguterschiffen Heuser,H.H.
  5. Inshore ship production Masilg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