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어선 선체용접부의 신형상 개발 및 적용 가능성 검토

The examination of application possibility and development of new welding joint shape for aluminum alloy

  • 김종명 (전남도립담양대학 기계자동차공학부) ;
  • 오종인 (조선대학교 선박해양공학과) ;
  • 방한서 (조선대학교 선박해양공학과)
  • 발행 : 2001.02.01

초록

어선 제작시 어선의 고속화 및 어로작업 등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각재질이 가볍고, 강도, 화재 및 해수의 부식 등에 뛰어난 재료의 사용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어선으로서는 크게 FRP어선과 Al어선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러나 FRP어선은 가볍고 강도는 우수하나 인화성이 높아서 열에 매우 약하고 선박 제작 과정에 있어 인체에 해로운 유해성분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폐선의 경우 산업폐기물로써 환경 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 반면에, Al어선은 FRP어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재료로써, 고강도 및 경량화의 효과를 낼 수 있고, FRP어선보다 인화성이 낮아서 열에 강하고, 내구성이 높아 해수의 부식방지에 뛰어나므로 Al 어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은 용접성이 좋지 않고 용접변형 및 균열이 발생하고, 건조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l 합금 접합시의 문제점 해결방안으로 용접이음부의 새로운 형상을 개발하고 개발한 신형상에 대한 역학적 거동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평판 이론을 이용하여 구조부재를 단순화하여 평판, 보강판, 신형상에 대하여 해석함으로써 강도를 비교 검토하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자체 개발된 용접열전도 및 용접열응력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판과 신형상의 온도분포, 용접잔류응력, 인장, 압축시의 강도를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인장 시험편을 제작하여 실험을 통하여 강도를 비교함으로써 신형상에 대한 적용 가능성 및 역학적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Manufacture of fishing vessel is needed the effective material for light, strength, fire and corrosion of water in order to improve durability by high-speed and fishing. These fishing vessel can be divided into FRP and AI alloys fishing vessel. FRP fishing vessel is light and effective for strength but highly ignited and susceptible to heat during the manufacturing ship by-produce noxious component for human. In the case of a scrapped ship, i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On the other hand, aluminum is a material in return for FRP and has merit of high-strength and lightness. It's more heat proof and durable than FRP and superior to prevent from corrosion. Al alloys fishing vessel development is rising as an urgent matter. But, al alloy has some defect of bad weldability, welding transformation, cracks and overcost of co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new welding joint shape solving aluminum defects and mechanical behavior. First of all, strength was compared and reviewed by analysis of plate, stiffen plate, new model simplified by using plate theory. On the base of this result, plate and new model of temperature distribution, weld residual stress and strength of tensile, compressive force were compared and reviewed by finite element computer program has been developed to deal with heat conduction and thermal elasto plastic problem. Also, new model is proved application possibility and excellent mechanic by strength comparison is established to tensile testing result.

키워드

참고문헌

  1. 대한조선학회지 v.27 no.4 유한요소법에 의한 박판용접의 2차원 비정상 열전도 해석 방한서
  2. 대한용접학회지 v.17 no.5 유한요소법에 의한 저항 점용접부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방한서
  3. 대한조선학회지 v.36 no.4 극후판 박스칼럼의 코너 조인트 용접시 발생하는 라멜라 티어링에 관한 연구 방한서;김성주;김종명;장웅성;권영섭
  4. 대한조선학회지 v.36 no.2 선수구조부 구조해석 시스템 개발(3)-동적구조해석 이상갑;박종규
  5. 대한조선학회지 v.36 no.4 형상모델 기반 선박계산 전산프로그램 개발 박상규;이규열
  6. KS 규격집 점 용접용 전극의 모양 및 치수 C9606
  7. KS 규격집 Spot 용접 및 맞대기 용접 이음의 인장. 굽힘 시험 방법, B0832, B0833, B0850, B0851
  8. KS, JIS, DIN 표준공업규격(용접편)
  9. KR,ABS,LR 선급규칙(강선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