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 Impact on Sedimentary Environment of Estuarine Coastal Salt Marches, Southern Coastal Region of Korea Peninsula

인위적 환경변화에 따른 해안지역 퇴적환경의 변화

  • 박의준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An estuary is semi-inclosed inlets, located between terrestrial and marine environment. Since many estuaries along south-western coasts of Korean peninsula were affected by human settlements and activities, significant changes in sedimentation environments have been observed. The research area is divided into three distinct morpho-stratigraphic units: fluvial dominated area(Area1), mixed area(Area 2), tide-dominated area(Area3). The landform of this area has been changed by reclamation and river channel change. Temporal variations affected by dam construction, periodic freshet was iterrupted. Sediments began to continuously accmulate on estuary banks by tide. Meanwhile, because of the continuous but reduced discharge of fresh water, the salinity of estuarine sediments was declined. That processes made vegetated area( Phregmites lonivalvis and Suaeda japonica) to be expanded. It indicates that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geomorphic processes has been significantly changed.

본 연구에서는 지난 30여년간 빠르게 환경의 변화를 겪은 순천만 염하구 해안습지를 대상으로 인위적 환경 변화가 초래한 해안지역 퇴적환경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분류 및 권역별 지형분석, 인위적 환경변화 추적, 퇴적물 분석을 통한 퇴적과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지역의 지형은 크게 하천의 영향이 강조하고 조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권역 1, 하천의 영향이 감소하면서 조류에 의한 퇴적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권력 2, 조류의 파랑의 영향을 받으면서 해양생태계에 근접한 권역 3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연구지역은 지난 30여년간 해안선과 유로 변화, 댐 건설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를 겪었다. 1963년부터 1980년대까지 계속된 해안선과 유로 변화, 그리고 1991년 축조된 홍수조절용 댐 건설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를 겪었으며, 이는 연구지역의 퇴적과정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섯째, 주상시료와 표층퇴적물의 물리적 특성은 권역 1과 권영 2.3이 명확하게 구분되며, 이를 통해 댐 건설 이전과 이후의 퇴적과정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댐 건설 이후에는 조류의 영향이 권역 2로 공간적인 제한을 받고 있으며, 홍수의 조절에 따라 갯강 양안에 점토 비율이 높은 미립물질이 지속적으로 퇴적되고 있는 환경이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퇴적환경은 댐건설 이전에는 조류와 하천의 영향이 연구지역 전체에서 평형을 이루는 것이었으나, 현재는 하천의 영향이 강한 구역과 조류와 영향이 강한 권역으로 공간적 분화를 보이는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연구지역이 인위적인 환경변화를 겪음에 따라 새로운 평형 환경으로 전이되고 있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나타내었으며(P<0.05), 실험종료시 첨가군의 비만도도 약 10.8% 더 높게 나타났다(P<0.05).다. Alcohol과 lactone은 저장 중 감소되고 ketone은 증가되었다. 그 이상 AsA가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해 비교적 그 효과가 미흡하였다. 본 실험연국려과에서 옛부터 약재, 식품 보존제로 이용되어온 당귀는 메탄올 및 헥산 분배층에서 인채암세포 4종에 대해 항암효과가 뚜렷하였고 HepG2 세포주에서는 에탄올과 헥산 분배층에서 암예방효과의 지표로 사용되는 quinone reductase 효소활성 유도효과가 아주 좋았으므로 보다 단계적인 물질의 분리 동정이 이루어져 향후 당귀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뿐 아니라 암예방 차원의 건강 천연물로서의 개발 및 응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종한 후 참지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서 용혈반 형성 세포수와 혈청 단백질 중 immunoglobulin의 relative %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그러나 비장의 자연 살해 세포의 활성에는 변화를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참치의 석유 에델 추출물중에 in vitro에서 인체 장암세포 및 백혈병성 임파모세포의 증식 억제 및 생체내에서 면역 증강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심으로 살펴봄으로서 아직 국내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본 기 술의 활용을 넓이고자 한다. within minimum time from beginning of the shutdown.및 12.36%, $101{\sim}200$일의 경우 12.78% 및 12.44%, 201일 이상의 경우 13.17% 및 11.30%로 201일 이상의 유기의 경우에만 대조구와 삭제 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순천도엽 1:50,000 지형도 건설부 국립지리원
  2. 新版 標準土色帖 農林水産省農林水産技術會議事務局 監修
  3. 지리학논총 v.27 강화도 염생습지 퇴적물에 관한 연구 박의준
  4. 순천만 염하구 퇴적과정의 시·공간적 변이 박의준
  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6 no.3 해안습지 성장률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의준
  6. 지리학연구 v.35 no.1 해안습지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동향과 과제 박의준
  7. 순천만 생태계 조사: 용역 최종 보고서 순천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8. 순천동천하천개수(하도정비) 사업실시 설계 보고서 순천시
  9. 퇴적학 조성권(외)
  10. 順天灣 漁場(養殖場) 被害原因 調査硏究 韓國科學技術硏究院 海洋硏究所
  11. 순천도폭 지질 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2. Marine Geology v.82 Tidal channel classification for a low-mesotidal salt marsh Ahley, G. M.
  13. Sedimentary Geology v.26 Sedimentary processes and facies in the Gironde estuary: a recent model for macrotidal estuarine systems Allen, G. P.(et al.)
  14. Sedimentology v.32 Erosion and deposition of fine-grained sediments from the Bay of Fundy Amos, C. L.;Collins, M. B.
  15. Coastal Environments: An Introduction to the Physical, Ecological and Cultural Systems of Coastlines Carter, R. W. G.
  16. Sedimentary Structire Collinson, J. D.;Thompson, D. B.
  17.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62 Estuarine facies model: conceptual basis and stratigraphic implications Darlymple, R. W.(et al.)
  18. Coastal Wetland DeLaune, R. D.
  19. Depositional Systems Dennis, R. A.
  20. Estuarine Hydrography and Sedimentation Dyer, K. R.
  21. Sedimentology v.39 Sediment dynamics and hydrodynamics in the lower course of a river highly regulated by dams, the Ebro river Guillen, J.;Palanques, A.
  22. Sedimentology v.37 Recent evolution of the Outardes estuary, Quebec, Canada: consequences of dam construction on the river Hart, B. S.;Long, B. F.
  23. Spartina marsh, Journal of Coastal Research v.11 Short term sediment dynamics in a southeastern U.S.A. Hutchinson, S.(et al.)
  24. Wave, Tide and Shallow Water Open University Course Team
  25.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pecial Issue v.3 Coastal dunes, changing sea level, and sediment budgets Orme, A. R.
  26. Journal of Coastal Research v.1 Response of tidal salt marshes of the S. Atlantic and Gulf Coasts to rising sea levels Orson, R. (et al.)
  27.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pecial Issue v.23 Surficial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 processes in an estuarine marsh, southern coastal region of Korea peninsula Park, Eui Joon;Yu, Keun Bae
  28. Journal of Coastal Research v.10 Sea-level rise and the fate of tidal wetlands Parkinson, R. W.
  29. Geomorphology and Sedimentology of Estuaries Perillo, G.M.E.
  30. An Introduction to Coastal Geomorphology Pethick, J. (et al.)
  31.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v.14 The impact of sea-level rise on coastal salt marshes Reed, D. J.
  32.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v.20 The response of coastal marshes to sea-level rise: survival or submergence? Reed, D. J.
  33. Field Experiments and Measurement Programs in Geomorphology The nature of geomorphic field experiments Slaymaker,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