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Hydrologic Characteristics of Design Rainfall for the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

수공구조물 설계를 위한 설계강우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 이정식 (금오공과대학교 토목, 환경 및 건축공학부) ;
  • 이재준 (금오공과대학교 토목, 환경 및 건축공학부) ;
  • 박종영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1.02.01

Abstract

This study is to propose temporal pattern of design rainfall which causes maximum peak discharge and to analyze the variation in peak discharge according to design rainfall durations. In this study, the Mononobe, the Yen and Chow triangular, the Huff's 4th quartiles and the Keifer and Chu methods are applied to estimate the proper temporal pattern of design rainfall and three rainfall-runoff models such as SCS, Nakayasu, and Clark methods are used to estimate the runoff hydrograph. And to examine the variability of peak discharge, the hydrologic characteristics from the rainfall-runoff models to which uniform rainfall intensity is applied are used as the standard values. The type of temporal pattern of design rainfall which causes maximum peak discharge in both of the watersheds and the rainfall-runoff models has resulted in Yen and Chow distribution method with the dimensionless vague of 0.75. On the basis of determined temporal pattern, the examination of the variability of peak discharge according to design rainfall durations shows that design rainfall duration varies greatly with the types of probable intensity formula, and the variation of peak discharge is more affected by the types of probable intensity formula and I-D-F currie than rainfall-runoff models.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모형인 Mononobe 분포법, Yen과 Chow 분포법, Huff 분포법과 heifer와 Chu 분포법을 강우-유출모형인 SCS 방법, Nakayasu 방법과 Clark 방법에 적용하여 최대 유출상황을 발생시키는 설계강우 시간분포모형을 결정하였다. 각 강우-유출모형에 균등강우강도를 적용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첨두유량의 변동성을 검토하였다. 대상유역에 적용한 강우-유출모형의 결과를 분석하여 유역별 및 강우-유출모형별로 최대 유출상황을 발생시키는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모형을 정리한 결과 전체적으로 Yen과 Chow 분포법의 후방집중형으로 나타났다. 결정된 시간분포모형을 바탕으로 지속기간의 변화에 따른 첨두유량의 변동성을 파악한 결과 확률강우강도식의 형태에 따라 최대유량을 발생시키는 지속기간에 변동성이 보여지고 있으며, 강우-유출모형에 의한 영향보다는 확률강우강도식의 형태와 I-D-F곡선에 따라 첨두유량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부 (1983~1996).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보고서
  2. 건설부 (1988). 한국 확률강우량도의 작성, 수자원관리기법 개발 연구조사 보고서, 제2권
  3. 대구광역시 (1997). 대구 종합운동장(체육공원) 조성 재해영향평가서
  4. 전시영 (1992). 국내 기존 합성단위유량도의 비교분석. 국제수문개발계획(IHP) 연구보고서, 건설부, pp. 5-1-5-84
  5. 이재준, 이정식 (1999). '우리나라 도시배수시스템 설계를 위한 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4호, pp. 403-415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89). 지역별 설계강우의 시간적 분포, 건기연 89-WR-111
  7. 국립방재연구소 (1998). 방재조절지의 설계지침개발(II)
  8. Huff, F.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 No. 4, pp. 1007-1019
  9. Keifer, C.J., and Chu, H. H. (1957). 'Synthetic storm pattern for drainage design.'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83, No. HY4, pp. 1-25
  10. Yen, B.C., and Chow, V.T. (1980). 'Design hyetographs for small drainage structures.'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106, No. HY6, pp. 1055-1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