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자실험을 통한 경직의 정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 II - 대표변수를 이용한 새로운 척도 개발

A Study o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Spasticity Implementing Pendulum Test II - A New Scale Development Using a Representative Parameter

  • 임현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인간정보그룹) ;
  • 조강희 (충남대학교 재활의학과) ;
  • 김봉옥 (충남대학교 재활의학과) ;
  • 이영신 (충남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 발행 : 2001.02.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진자 실험을 통하여 중추신경계 질환인 경직을 정량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새로운 LCL(Logically Classified Level) 척도(scale)가 개발되었다. 새로운 척도개발에는 총 30개의 변수가 사용되었다. 이를 위하여 실험결과의 통계적 분석이 수행되었고 이들 중 진자 실험에서 경직의 특성이 가장 잘 반영되는 변수가 대표변수로 선정되었다. 사용된 30개의 변수 중 20개는 새로 도출된 변수이며 10개는 선행된 연구자들에 의하여 개발된 변수이다. 새로운 20개의 변수들은 진자 실험에서 발생되는 특성들인 각도, 각속도, 근육 모델, EMG가 고르게 반영될 수 있도록 이들의 조합으로 도출되었다. 이변량 상관분석결과 총 30개의 변수들 중 11개의 변수들은 서로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이 파악되었다. 11개의 서로 강한 상관성을 보이는 변수 중 논리적인 모순이 없는 L11이 대표변수로 선택되었다. 28명의 환자 데이터는 대표변수인 L11를 기준으로 4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고 최종으로 이들 그룹의 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새로운 척도에 사용된 대표변수인 L11은 환자들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경우에 적합한지 검토되었는데 미소한 환자의 상태까지 잘 반영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따라서 새로운 LCL 척도는 기존의 준 정량적인 척도인 MAS(Modified Ashworth Scale)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환자의 초기 진단뿐만 아니라 동일한 환자의 치료전후, 병적 호전에 대하여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어 약물의 처방량 조절, 치료기간 등 치료의 전략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new scale named LCL(Logically Classified Level) has been developed to judge the status of the spasticity quantitatively implementing a pcndulum test in this study. Total 30 parameters have been used to develop the new scale. One representative parameter that can represent the dominant characteristics of spasticity has been chose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20 parameters among 30 parameters usc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newly developed and 10 parameters were from previous studies. The new 20 parametcrs were developed using combinations of pcndulum test characteristics. ie anglc, angular velocity. musclo midel. and EMG. 11 parameters among 30 parameters have showed strong correlations each other, Finally. L11 that showed consistency at every case has been chosen to be a representative parameter among the 11 parameters. 28 patients data were separated into 4 groups. A regression equation to predict the trend of patients of L11 has been made. The paramcter L11 was tested to prove its usabilitics for various cases of patients. The new LCL scale is expected to be a quantitative scale, and to replace the MAS(Modified Ashworth Scale) that is not a quantitative scale. Especially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new scale could be used to plan a treatmcnt period. methods, and intensity. as it can evaluate the status of patient's in detail.

키워드

참고문헌

  1. Neurology v.1 Pendulousness of the Leg as a Diagnostic Test R.Wartenberg
  2. J.of Biomedical Engineering v.4 Testing and Modelling of Spasticity T.Bajd;B.Bowman
  3. J.of Biomedical Engineering v.6 Pendulum Testing of Spasticity T.Bajd;L.Vodovnik
  4. J.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v.51 Does the Wartenberg Pendulum Test Differentiate Quantitatively between Spasticity and Rigidity? A Study in Elderly Stroke and Parkinsonian Patients R.A.Brown;D.A.Lawson;G.C.Leslie;M.A.MacLennan;W.J.McMurdo;W.J.Mutch;N.J.Part
  5. J.fo Neru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v.51 Observations on the Applicability of the Wartenberg Pendulum Test to Healthy Elderly Subjects R.A.Brown;D.A.Lawson;G.C.Leslie;N.J.Part
  6. IEEE Transactions on Rehabilitation Engineering v.6 no.2 Stretch Reflex Sensitivity: Effects of Postural and Muscle Length Changes J.He
  7. XIII International Congress of EEG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Vancouver, Canada,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v.87 no.2 Assessment of Spasticity by an Integrated System for the Analysis of Pendular Motion and ENG Activity M.Ferrarin;C.Frigo;M.Osio;P.Crenna;A.Pedotti;A.Mangoni
  8. J.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v.63 A New biomechanical Approach to Pendulm Test for Spasticity Evaluation M.Ferrarin;M.Osis;G.Abello
  9. Biomechanics VI-A A Determination of Muscle Length During Locomotion C.Frigo;A.Pedotti;Assussen E.;Jorgensen K.(Eds.)
  10. 대한의공학회지 v.21 no.3 진자실험을 통한 경직의 정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 이영신;임현균;조강희;김봉옥;채진목
  11.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42 no.3 Sensitivity of the Pendulum Test for Assessing Spasticit in Persons with Cerebral Palsy E.G.Fowler;A.Nwigwe;T.Ho
  12. Clinical Rehailitation v.5 A Review of the Properties and Limitations of the Ashworth and Modified Ashworth Scales A.D.Pandyan;C.Price;R.Curless;G.Johnson;M.Barnes;H.Rodgers
  13. 대한재활의학회지 v.18 no.1 편마비 환자에서의 경직의 평가 한태륜;김진호;전민호
  14. 대한재활의학회지 v.18 no.1 편마비 환자에서의 경직의 평가(Ⅱ) 한태륜;김진호;전민호
  15. 대한재활의학회지 v.19 no.2 편마비 환자에서의 경직의 평가(Ⅲ) 한태륜;김진호;전민호
  16. 대한재활의학회지 v.21 no.5 2차원 동작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진자검사 양승한;최은석;박노경;김민기;최장휴
  17. 대한재활의학회지 v.16 no.4 상지의 경직을 평가하는데 있어 진자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전중선
  18. 대한재활의학회지 v.13 no.2 정상인과 경련성 편마비환자에서 Cyber Ⅱ+ Dynamometer를 이용한 진자검사 장기언;안용팔;박주현
  19. 카톨릭 대학 의학부 논문집 v.44 편마비 환자에서 경직성 평가를 위한 진자검사 장기언;강세윤
  20. 대한재활의학회지 v.22 no.4 편마비 환자에서 등속성 근력계를 이용한 경직의 정량적 평가 이성재;한태륜
  21. 의공학회지 v.16 no.2 인체 동작 분석기의 개발 김민기;김성호;이성희;양승한
  22. 대한재활의학회지 v.23 no.3 진자검사와 동적 근전도를 이용한 경직평가 이은우;조강희;김봉옥
  23.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중추신경계 질환에 의한 경직의 생체역학적 정량평가 및 새로운 진단척도개발 임현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