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Watershed Information and Pollutants Load using GIS in Mankyung and Dongjin Rivers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만경강.동진강의 유역정보 및 오염부하량 분석

  • Ko, Jae-Won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Wonkwang Univ.) ;
  • Jeong, Shin-Taek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Wonkwang Univ.) ;
  • Kim, Chul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Honam Univ.) ;
  • Cho, Hong-Yeon (Coastal & Harbor Engineering Research Lab.,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고재원 (원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정신택 (원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김철 (호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조홍연 (한국해양연구원 연안항만공학연구본부)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The watershed information of the Mankyung River and Dongjin River is obtained and analysed using the GIS tool. The informations i.e., digital map, land use, point sources, weather station, water quality measurement station, and pollutants load unit are managed by DB system. The slope, rainfall, and generated pollutants loads of COD, TN and TP which are the input data of the rainfall-runoff-pollutants load model are estimated. From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and generated data, the almost watershed area is composed of agricultural lands except the upstream regions. The population and industrial area are densely located in Cheonju City and Iksan City, whereas the farming areas are widely distributed.

만경강·동진강 유역의 유역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GIS)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분석하였다. 수치지도, 토지이용도, 점오염원, 강우량 및 강우관측소 정보, 수질관측소 정보, 원단위 오염부하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였으며, 유출량 산정 및 유달부하량 산정의 입력자료가 되는 유역의 경사도, Thiessen 다각형에 의한 강우량, 유역의 COD, TN, TP 발생오염부하량 등의 자료를 산정하였다. 수집·생성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새만금 유역은 하천 상류유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완만한 평야지대로 g여성되어 있으며, 인구 및 산업시설은 전주, 익산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축산농가는 전 유역에 광범위하게 산재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리정보체계(GIS)를 이용한 만경강·동진강에서의 수질관리 연구 고재원
  2. 수자원 단위지도 건설교통부
  3. 수치지도 건설교통부
  4. 1961-1999 월평균강우량 기상청
  5. 동진강,만경강 하천정비 기본계획 이리지방국토관리청
  6.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지리정보체계 및 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한 도시유출 및 수질모형의 개발 이범희
  7. 만경강 중권역 1999 수질오염원 조사 결과 전주지방환경관리청
  8. 토지피복도 환경부
  9. 환경통계연감 환경부
  10. Appl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Hydrology and Water Resource Management Developing a Spatially Distributed Unit Hydrograph by using GIS Maidment, D.R.;K. Kovar(ed.);H.P. Nachtnebel(ed.)
  11. A GIS Assess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San Antonio-Nueces Coastal Basin Maidment, D.R.
  12. GIS based Hydraulic Model Picture the Intercepter Future, New Techniques for Modeling the Management of Stormwater Quality Impacts Shamsi, U.M.;Schneider, 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