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s of Bacillus spp.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B3 process.

B3 공법을 사용하는 하수종말처리장에서 Bacillus 속 세균의 변화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By FISH and spore staining methods, the changes of Bacillus spp. numbers were investigated at municipal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which operated with B3 process. Total bacterial numbers, which is the sum ofDAPI bound cells and numbers of spore, were ranged TEX>$3.2{\times}10^8 ~ 4.4{\times}10^8 $ cells/ml. The Bacilli numbers whichis the sum of probe S-G-Bacill-0597-a-A-22 bound cells and numbers of spore were from $0.3{\times}10^7 ~ 8.4{\times}10^7 $ cells/ml. The ratios of Bacillus sp. to total bacteria were ranged from 8 to 60%. Among 4 aeration tanks, thefirst tank had shown the highest proportions of Bacillus sp. And third and fourth tanks, the numbers of sporewere increasing.

Bacillus spp. 이용하여 B3공법을 사용하는 하수 종말 처리장의 포기조에서 Bacillus sup. 변화를 FSIH방법과 포자염색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DAPI로 측정한 세균수는 $3.2{\times}10^8 ~ 4.4{\times}10^8 $ cells/ml 범위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Bacillus sp. 균수는 $0.3{\times}10^8 ~ 2.5{\times}10^8 $ cells/ml 범위로 지점별, 조사시기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포자수는 $0.3{\times}10^7 ~ 8.4{\times}10^7 $ cells/ml 범위로 3월에는 세 번째 포기조, 5월에는 두 번째 포기조에서 각각 8.5, $5.5{\times}10^7$cells/ml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총세균수는 DAPH를 측정한 값과 포자수를 합하여 사용하였고, Bacillus속 세균수는 FISH로 계수된 수와 포자수를 합하여 사용하였다. 충세균수에 대한 Bacillus sp.균의 비율은 약 8~60% 범위로 첫 번째 및 세 번째 포기조에서 각각 50%, 35% 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였다. B3 공법에서는 Bacillus가 우점하고 있음이 FISH 방법으로 확인되었으며, 반송 슬러지와 하수가 유입되는 첫 번째포기 조에서 그 비율이 높았고, 다음 포기조로 가면서 그 비율이 줄어들고 있었다. Bacillus의 포자수는 뒤의 포기조로 가면서 그 수와 비율이 높아지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미생물학회지 v.35 소양호에서 세균군집구조의 계절적, 수질적 변화 김동주;홍선희;안태석
  2. 하 · 폐수처리에서 바실러스균을 이용한 질소 · 인 제거기술(Bio-Best Bacillus Ststem : B3 System) 대경기계기술
  3. B3(Bio-Best Bacillus System) 공법을 이용한 하 · 폐수의 고도처리 대경기계기술
  4. 한국미생물학회지 v.12 하수처리과정에서 염분이 세균군집에 미치는 영향 서미애;홍선희;김동주;박경미;안태석
  5. B3 공법을 이용한 오수 · 분뇨 및 축산폐수의 고도처리기술 최용수
  6. 한국미생물학회지 v.37 Bacillus 속 세균을 검출하기 위한 FISH 방법의 개발 홍선희;김옥선;송홍규;이동훈;안태석
  7. 한국미생물학회지 v.36 팔당호에서 Aggregates에 부착한 세균군집구조의 변화 홍선희;오덕화;전선옥;안태석
  8. Microbiol. Rev. v.59 Phylogenetic and in situ detection of individual microbial cells without cultivation Amann, R.;W. Ludwig;K. H. Schleiger
  9. Handbook of media for environmental microbiology Atlas, R.M.
  10. Appl. Environ. Microbiol. v.64 Species-specific oligonucleotide for enumeration of Pseudomonas Putida F1, Burkholderia sp. Strain JS 150 and Bacillus subtilis ATCC 7003 in biodegradation experiments DUteau, N. M.;Rogers, J. D.;Bartholomay C. T.;K. F. Reaedon
  11. Appl. Environ. Microbiol. v.58 Dual staining of natural bacterioplankton with 4, 6-diamidino-2-phenylindole and fluorescent oligonucelotide probes targeting kingdom level 16S rRNA sequences Hicks, R.;R. I. Amann;D. A. Stahl
  12. Bacillus subtilis: Molecular biology and industrial application Maruo, B;H. Yosikawa
  13. Appl. Environ. Microbiol. v.60 ldentification of whole fixed bacterial cells with nonradioactive rRNA targeted transcript probes Trebesius, K.;R. Amann;W. Ludwig;K. M hlegger;K. H. Schleifer
  14. Hydrobiologia v.255/256 Particle size dependent feeding by the rotifer Branchionus plicatilis Vadstein, O.;G. Φie;Y. Olsen
  15. 日本水環境學曾誌 v.18 好氣性し尿處理槽 における Bacillus spp. の優鮎化とそれらの生化卑的 性質 村上弘毅;土井幸夫;靑木滿;入江三
  16. 糞尿處理施設 精密機能檢査 報告書 伊那中央衛生セン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