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rmentation Patterns of Leek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부추김치와 배추김치 발효양상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For the comparison of fermentation pattern of leek kimci with chinese cabbage kimchi, the changes of total viable cell number, Leuconostoc sp. bacteria, Lactobacillus sp. bacteria, pH and total sugar content of twotypes kimchies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at $20^{\circ}C$ and $10^{\circ}C$. In chinese cabbage kimchi at $20^{\circ}C$ fermentaion, the numbers of total viable cell, Leuconostoc sp. bacteria and Lactobacillus sp. bacteria reachedthe maximum level on 2nd day and reduced slowly. But in leek kimchi, the maximum numbers of total via-ble cells, Leuconostoc sp. bacteria and Lactobacillus sp. bacteria were obtained after 3 days fermentation,and the cell number of Lactobacillus sp. maintained at the maximum level oyer 15 days. At $10^{\circ}C$ fer-mentation, in both kimchies, the viable cell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more slowly increased anddecreased than at $20^{\circ}C$. The pH of chinese cabbage kimchi was 4.2 on 3rd day (optimal ripening phase) andmere decreased to 3.5 after 5 days, but in leek kimci the pH 4.2 could be reached after 10 days at $20^{\circ}C$. At $10^{\circ}C$, the optimal ripening pH 4.2 of chinese cabbage kimchi was reached after 6 days, but in leek kimchieven though after 24 days, the pH was maintained oyer 4.3. The total sugar contents of chinese cabbage him-chi and leek kimci were decreased continuously during fermentation. From these results, we know that thefermentation of leek kimchi proceed more slowly than chinese cabbage kimchi by the retardation of lacticacid bacteria growing in leek kimchi.

배추김치와 부추김치의 발효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20^{\circ}C$$10^{\circ}C$로 나누어 발효과정 중의 총 균수, 젖산균 수, pH 및 총 당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20^{\circ}C$에서 발효한 배추김치의 경우 총 균수와 Leuconastoc속과 Lactobacillus속 젖산균 모두 발효 초기인 2일째에 최대에 도달하다가 그 이후에는 점점 감소하였다. 그러나 $2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Leucanostoc속은 발효 3일째에 최대에 도달한 후 점차 감소하였지만 Lactobacillus속은 발효 15일 이후까지 그 균수가 유지되었다. $10^{\circ}C$에서 발효한 경우에는 배추김치, 부추김치 모두 $20^{\circ}C$에서 발효한 경우보다 Leuconostoc속과 Lactobacillus 속의 균수가 서서히 중가하다가 감소하였다. pH 변화는 배추김치 경우에는 3일 후에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부근에 도달한 후 발효 5일째에 3.5 까지 낮아져 그 후에도 계속 유지되었으나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발효 10일째까지 적숙기 김치의 pH인 4.2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10^{\circ}C$의 경우 배추김치는 6일 후 pH 4.2 정도였으나 부추김치는 24일 후에도 pH 4.2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발효 기간에 따른 총 환원당의 함량은 배추김치와 부추김치 모두에서 발효초기부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10^{\circ}C$에서 발효한 부추김치의 경우에는 감소정도가 매우 완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부추김치가 배추김치보다 젖산균의 종식이 더디어 배추김치에 비해 발효가 서서히 진행됨을 알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27 부추(Allium tuberosum Rottler)의 휘발성 향기성분 김경수;박은령;조정옥;김선민;이명렬
  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27 파, 부추 및 고들빼기김치 숙성 중의 chlorophyll 및 그 유도체의 함량변화 김경업;김성희;정효숙;유영법;이종호
  3. 한국식품과학회지 v.27 부추추출물의 김치발효 지연 및 관련미생물 증식억제 김선재;박근형
  4. 한국조리과학회지 v.16 담근방법을 달리한 부추김치의 관능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박문옥;장명숙
  5.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4 발효숙성온도를 달리한 갓김치의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변화 박삼수;장명숙;이규한
  6. 한국농화학회지 v.34 소금농도가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 박우포;김재욱
  7. 한국농화학회지 v.34 조미료 젓갈 등이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 박우포;김재욱
  8. 대한가정학회지 v.34 멸치젓 첨가량이 부추김치의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 배상임;문성원;장명숙
  9. 한국식품과학회지 v.27 김치에서 분리한 저온성 젖산균의 동정 소명환;김영배
  10. 한국식품과학회지 v.28 시판김치 발효온도별 성분과 미생물 변화 신동화;김문숙;한지숙;임대관;박완수
  11. 한국식품과학회지 v.16 재료의 종류에 따른 김치의 유기산 및 휘발성 향미성분의 변화 유재연;이혜성;이혜수
  12. 한국식품과학회지 v.10 향신료가 유산균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유진영;민병용;서기봉;하덕모
  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28 부추첨가 김치의 발효특성 변화 이귀주;김유경
  14. 한국조리과학회지 v.11 김치부재료가 젓산균 생육에 미치는 영향 이진희;조영;황인경
  15.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v.20 김치발효 중의 젖산균의 경시적 변화 및 분리 젖산균의 동정 이철우;고창령;하덕모
  16. 한국식품과학회지 v.31 파김치와 배추김치의 발효양상 이헌주;주윤성;박찬선;이정숙;박용하;민태익;안종석
  17. 한국미생물학회지 v.27 김치에 서식하는 Gram양성 세균의 분리 및 동정체계의 재평가 임종락;박현근;한홍의
  18.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4 돌산 갓 김치 숙성 중 매운맛 성분의 변화 전순실;최옥자;조영숙;박석규;박정로
  19. 한국식품과학회 v.20 마늘농도가 김치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조남철;전덕영;신말식;홍윤호;임현숙
  20. J. Appl. Bacteriol. v.23 A medium for the cultivation of lactobacilli De Man, J. C.;M. Rogosa;M.E. Sharpe
  21. Korean J. Food Sci. Tcehnol. v.16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Mheen. T.I.;T.W. Kwon
  22. Anal. Chem. v.31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Miller, G.L.
  23.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v.35 Selective media for enumerating lactic acid bacteria groups from fermented pickles (in Japanese) Miyao, S.;Ogawa, T.
  24. J. Milk Food Technol. v.34 Growth rates and fermentation patterns of lactic acid bacteria associated with the sauerkraut fermentation Stamer, F.R.;B.O. Stoyla;B.B. Dunnck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