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상징물 이미지 통합연구

Analystic study on Image Unification of National Symbols.

  • 김영희 (시립인천전문대학 산업디자인과) ;
  • 최수정 (한국디자인 진흥원)
  • 발행 : 2001.08.01

초록

현대는 이미지의 시대라 불리고 있다. 이는 우리사회의 비중이 유형적인 상품중심의 산업사회로부터 무형적인 문화중심의 사회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주변에서 형성되는 공간이나 물건, 사건(이벤트)등에는 어떤 이미지의, 어떤 컨셉의, 어떤 심리적 요인을 작용시키는 가 하는 점이 매우 중요해 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찍부터 선진외국에서는 국가의 대표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국의 물건이나 장소 이벤트 등에 적용함으로써 국가의 긍정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이를 통해 자국민의 긍지를 높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를 상징하는 기본이미지(국호, 국가, 국기, 국화)를 디자인 원리를 통해 일정수준 이상의 형태와 구성으로 표현 가능하도록 접근한 것이다. 각각의 개별이미지의 기본표현을 기준으로 다양한 응용모티브의 제공과 이를 활용한 상품의 사례 등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미지전개의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향후 더 많은 변형과 발전의 계기를 제공하려 하였다. 이는 국가의 이미지를 국민이 자유롭게, 적극적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국가에 대한 자부심을 키우고, 국민 생활 속에서 친숙한 이미지로 자리잡을 수 있게 함으로써, 누구나 필요할 때 우리자신을 홍보할 수 있는 기본자료로 제공하려 한 것이다. 또한 외국인에게는 우리국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호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국가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기여코자 하였다.

Modern times is called the age of image. It means that our society's importance is transferring from the commodity-centered industrial society to intangible culture-oriented society Therefore, it is becoming very important that what kind of image, concept and psychological factor act upon the space, things, incident and time (event) which is constituted around our environment. As regards this standpoint, from the early period, that advanced countries have been taking advantage of the national symbol image very positive way and function for domestic things and place and event and so on which make a standout for the nation's positive image and taken an effort for promoting a pride of their fellow countrymen through this. This study approaches the basic images of national symbol which includes the country's name, national anthem, national flag through the design principle which could express some certain above level of pattern and composition. I suggested various applicative motif based on basic expressions of each individual image and the applied sample goods of this idea, an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process of image development, and I tried to offer a moment of more prosperity and development at a later time. This is for encouraging fellow citizens to use national symbol in the free and positive way which make them to increase a national pride, and give a familiar image in the citizens'daily life. I intended to offer basic materials for promoting ourselves whenever we need it. And also by the offering information on our nation for foreigners which make them to have a favorable impression of our nation. I tried to promote a positive national imag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