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종 항만군 분류를 통한 컨테이너항만의 운영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ration Efficiency of Container Port by Comparison of Similar Ports

  • 정태원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 곽규석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1.02.01

초록

본 연구는 경쟁상태에 있는 아시아 14개의 컨테이너 터미널을 항만시설 관련자료(시설, 시설가용성), 경제·사회 지표(인구, 1인당GNP), 항만서비스 관련자료(취항선사수), 그리고 컨테이너처리물동량 등에 의해 5개 항만군으로 분류한다. 분석방법으로는 평가자료가 실제 입력자료를 얼마나 잘 재현해 주는가를 나타내는 기준치인 스트레스값을 제시해 줌으로써 분석의 결과에 대한 적합도(Goodness of Fit)를 알 수 있는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다. 5개 동종항만군의 분류를 통하여 부산항을 포함하여 아시아 각 항만들의 현 위치를 보다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동종항만으로 분류된 카오슝 항만과의 벤치마킹을 통해 부산항의 운영 효율성 증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동종항만군의 분류 결과 카오슝 및 부산항만군은 다른 지표에 비해 항만기반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 이 항만군은 시설부문에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항은 낮은 생산성의 원인을 밝혀 해결책을 모색하고. 항만기반시설 중 선석수, 안벽길이, 야드 공간 등을 확장하는 데 투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incipl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systematic approach to identifying similar container ports in Asia. For this, it analyses data on port facilities, port facility availability, port service level total container throughput, and economic index, by using Multidimentional Scaling (MDS)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it identifies five groupings of similar container ports in Asia within which Port comparison can be justifiably made, evaluates a present position of five groupings on the basis of factors used to compare container ports in Asia ; and finally proposes policy implications for operation efficiency of Pusan container port in comparison with Kaohsiung Port. The major implication is that both the Kaosuing and the Pusan port have to strengthen port facility to attract more traffic, and particularly, Pusan Port has to reinforce the number of berth, total length of berth. and yard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사회과학 통계분석 강병구;김계수
  2. 한국항만학회 v.13 no.1 주성분분석 및 군집분석을 이용한 컨테이너 항만의 분류 문성혁;이준구
  3. 교통정책연구 v.4 no.2 항만시설과 처리물동량을 비교한 유사 항만군 식별에 관한 연구 양창호
  4. 다차원 척도 분석법 장익진
  5.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정충영;최이규
  6. 동북아 주요 컨테이너 항만간 경쟁여건 분석 하동우
  7. 부산항 ODCY 이전에 따른 컨테이너화물 유통체제 정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8. 항만기본계획 재정비
  9.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2 no.1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nspotation hubs centrality and intermediacy Douglas K. Fleming;Yehuda Hayuth
  10. Maritime Pilicy and Management v.21 no.3 Concepts of strategic commercial lication the case of container piers Diuglas K. Fleming;Yehuda Hayuth
  11. ESCAP and Korean Maritime Institute Prispects for Container Shipping and Port Development
  12. Multidimensional Scaling Kruscal K.B.;Wish M.
  13.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22 no.2 Systematizing international benchmarking for ports Tongzon;Jose L.
  14. UNCTAD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orts The establishment of transshipment facilities in developing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