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적성결손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연구

An Estimation of Driving Aptitude Effect on Traffic Safety

  • 박영욱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연구위원) ;
  • 전경수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발행 : 2001.02.01

초록

본 연구는 교통사고 야기 자들의 운전정밀적성검사기록과 해당 교통사고기록을 비교하여 특정 운전적성상의 결손이 교통사고와 특정유형의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발하는 인적요인에 의한 교통사고 유형 중에서 교통상충이 빈발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차-대-차 사고를 조사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와 같이 분석대상사고를 선정한 이유는 교통상충이 교통사고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사고 제1당사자의 운전적성의 역할을 파악하고자하는 목적에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교통사고 유형을 1. 교차로 진입부에서의 추돌사고, 2. 교차로내 충추돌사고, 3. 단일로상의 추돌사고로 선정하였다. 판별력이 의문시되는 4개 항목을 제외한 조사분석결과에서 하나의 항목을 제외하고 사고 야기자와 일반인의 운전적성상에 통계적으로 분명한 차이가 있으며 각 항목의 결손자 집단에서의 사고자 비율이 일반운전자 집단에 비해 교통사고를 경험한 확률이 2배 내지 4배 가량 높았다. 또한 특정 유형 사고 야기자와 사고 야기자 전체, 일반운전자 집단간 비교에서도 항목별 결손율이 분명한 다른 형태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특정유형의 결손(조합)자 집합에서 특정 교통사고 유형을 야기시켰을 확률이 일반인 집단에 비해 많게는 13배 적게는 3, 4배 정도 높다고 추정되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도로교통안전백서
  2. 성남시 도시정비기본계획
  3. 운전면허소지자 및 시험응시자에 대한 적성검사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4. 운전적성 검사기기 개발 및 도입에 관한 타당성 연구
  5.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정밀분석과 그대응책에 관한 연구
  6. 교통사고 잦은 곳 기본개선계획 및 효과분석
  7.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51 Interrarter Reliability in Situational Test Greenwood J.M.
  8. Tohoku Psychologica Folia v.53 no.13-20 Causal Analysis of Aptitude, Driving Behavior, and Accident through the Use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Based on Performance Data Niyajaki A.(et al.)
  9. Trilevel Study of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Treat(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