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traditional Korean rice gruel) made of imported and domestic rices(Chuchung byeo)

수입쌀과 국산쌀(추청벼)로 제조한 죽의 품질 특성 비교

  • 한승희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오명숙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made of imported rice(Thai and Chinese rice, harvested in 1998) and domestic rice(Chuchung byeo, harvested in 1998 and 1997) were examined. After cooking, Thai rice granules in Jook gained more weight than other rices and had a higher degree of swelling(p<0.05). The hardness of Thai rice granules in Jook was the highest and the adhesiveness of that was the lowest(p<0.05). Thai rice granules in Jook had high cohesiveness, chewiness and gumminess. Results showed that Thai rice has improper characteristics for making Jook which must be swallowed easily. In Thai rice, the time needed for the liquid pan of Jook to flow was shortest with values of 4.33s(60$\^{C}$) and 4.97s(40$\^{C}$) and spreadability of Jook was highest with value of 7.37cm(p<0.05). It showed that Jook made of Thai rice had nonsticky properties. Lightness of Jook made of Thai rice had the highest value of 66.3(p<0.05) and yellowness of Jook made of imported rice were higher than those made of domestic rices. Yields of reducing sugar by $\beta$-amylase reaction was highest in Jook made of Korean rice harvested in 1998 and lowest in Jook made of Thai rice(p<0.05). It showed That gelatinization of Korean rice harvested in 1998 was highest and that of Thai rice retarded. In sensory tests, Jook made of Korean rice harvested in 1997 had the highest acceptability and that made of Thai rice showed the lowest acceptability due to its strong off odor, low consistency and low smoothness in the mouth(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Jook made of Korean rice harvested in 1998 and that of Chinese rice.

본 연구는 수입쌀과 국산 쌀의 품질특성 비교 연구의 일환으로 수입쌀 2종류(1998년도 산 중국산 및 태국산)와 국산 쌀 2종류(1997년도 산 및 1998년도 산 추청)로 죽을 제조하여 밥알의 팽윤도, 중량비, 텍스쳐, 죽의 낙하속도, 퍼짐성, 색도, 환원당, 관능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죽에서 분리한 밥알의 팽윤도와 죽에 대한 밥알의 중량비는 태국산 쌀로 만든 죽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어(p<0.05) 태국산 쌀이 가열했을 때 수분을 많이 흡수하고 많이 팽윤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세 가지 쌀로 만든 죽들은 그 값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텍스쳐에 있어서는 태국산 쌀로 만든 죽의 밥알이 가장 경도가 높고 부착성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응집성, 씹힘성, 검성 등의 값이 높아 씹어 삼키기까지 오래 씹어 주어야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죽에서 분리한 액체의 낙하속도와 죽의 퍼짐성에서는 태국산 쌀로 만든 죽의 낙하속도가 4.33s(6$0^{\circ}C$)와 4.97s(4$0^{\circ}C$)로 가장 빨랐고, 퍼짐성이 7.37cm로 가장 컸으며 그 다음은 1997년도 산 국산 쌀, 중국산 쌀과 1998년도 산 국산 쌀의 순서(p<0.05)로 태국산 쌀로 만든 죽이 끈기가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태국산 쌀로 만든 죽이 66.3으로 가장 높은 명도를 나타내었으나(p<0.05), 황색도는 수입쌀로 만든 죽이 유의적으로 값이 높아 국산 쌀에 비해서 수입쌀로 만든 죽의 색이 누렇게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죽의 환원당 생성량은 1998년도산 국산 쌀> 중국산 쌀> 1997년도 산 국산쌀> 태국산 쌀로 만든 죽의 순으로 동일 취사조건에서 1998년도 산 국산 쌀이 가장 호화도가 높고, 태국산 쌀의 호화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p<0.05). 관능평가 결과는 1997년도 산 국산 쌀로 만든 죽이 전체적인 바람직성이 가장 높았고(p<0.05), 그 다음은 1998년도 산 국산 쌀과 중국산 쌀로 만든 죽으로 두 쌀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태국산 쌀로 만든 죽은 이취가 강하고, 점조도가 떨어져 입안에서의 느낌이 매끄럽지 못하여 전체적인 바람직성이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