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법상 출판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제전자책(e-book)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Problems with the Right of Publication by the Copyright Law and Some Innovations - Focusing on the Problems of E-books -

  • 김기태 (세명대학교미디어창작학과)
  • 발행 : 2001.12.01

초록

2000년 7월 1일자로 개정$\cdot$발효된 현행 저작권법은 전반적으로 디지털 매체환경을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저작재산권의 하나로 추가된 '전송권' 은 저작물의 이용환경이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무한 가상의 공간으로까지 확대되었음을 인정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전송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데다 전반적인 법적, 제도적 일관성이 부족한 탓에 저작전자와 이용자사이에 이를 둘러싼 대립상황이 빛어지고 있다는 데 있다. 이 같은 현상이 가장 심각한 분야는 출판분야이다. 즉, 기존의 출판권과 신생권리인 전송권, 그리고 이번에 개정된 복제권에 관한 조항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실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까닭에 이러한 혼란이 점차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출판업계를 비롯한 관련업계에서는 이미 실용화 단계에 접어들었거나 수익모델에 관한 연구까지 진행되고 있는 '전자책' 이라는 용어가 관련법규에서는 전혀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근본문제에서부터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저작권법상의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출판권이 새롭게 조망되어야 함을 밝히고, 향후 저작권법 개정에 있어 디지털 출판의 개념이 전격 반영될 수 있도록 촉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copyright law revised and proclaimed on July 1, 2000 on the ground that the law embraces digital medium environments. The transmission right added to the economic rights takes into account the fact that limitless cyber space represented by the Internet came to be pervasive. This is based on a lot of exhausting conflicts between those with copyrights and Internet users. The area of publication is badly afflicted in this sense, falling into confusion due to the miscomprehension of differences among the right of publication, the right of transmission and the right of reproduction. The term 'e-book' is not covered by relevant laws despite the widespread use of e-book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designed to point to the necessity of dealing with the right of publication with the problems of the copyright law emphasized and to ask for the aggressive reflection of the concept of digital publication in the future revision of the copyright law.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