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ransgenic Crops and Research Projects for Biotechnology Application

유전자 전환작물 개발 연구 현황과 과제

  • 정태영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유전공학과)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topic is to establish strategies and to plan biotechnology researches which are related to the agricultural improvements especially focusing on the crop breeding in Korea. From 1960's to 1980's government policy had been emphasized to develope high yielding cultivars for the self sufficient supply of the staple food crops. As a result, considerable increase of rice production has been made with accumulating technology and man's powers. Recently genetically modified crops harboring useful characteristics have been developed using biotechnology and releas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private companies have been developed biotechnology researches to establish competitive capabilities, however they have not been successfully used in commercial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practical. application by connecting molecular technology with conventional breeding. Proposed research projects are; (1) basic researches including plant genome studies, (2) developing new cultivars through gene transformation, (3) screening and producing antioxidants, secondary metabolite substances and edible vaccines. To set a government polic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were reviewed and possibility of success based on the economic view point were discussed. The intellectual property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play a key role to decide the research priority. It is also necessary for us to make one step system for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resources such as microorganisms, genes cloned, plant seeds and research informations for promoting research activities.

유전공학 기술은 지금까지 발전 유지하여 온 전통 육종기술의 약점을 보완하고 연계할 때만이 무한한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생산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품종개발을 전제로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품종 보급의 양대 축인 정부 주도의 식량작물 육종사업과 개인 종묘회사가 주도하는 원예작물 육종사업에 필요한 유전공학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며 철저한 현황파악과 성공가능성을 세계 경쟁의 입장에서 분석하여 연구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집중적인 인력 양성과 연구투자를 지속하여야 결실을 얻을 것으로 본다. 유전공학연구의 기본 방향으로는 실용화 촉진을 위한 연구와 원천기술확보를 위한 기초 연구로 대별하여 농가 또는 작물 육종기관에 필요한 연구는 농림부에서 주관하고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는 과학기술부에서 주도하여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정책을 수립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용화 촉진연구는 전통 육종 기술의 목표인 획기적 수량증대, 작물의 재배안정성 향상 및 품질 개량범주에 속하는 유전자 전환작물 개발 및 생리활성물질 생산 작물의 개발로 볼 수 있으며 기초 연구로서는 각 작물의 유전체 연구개발과제라고 생각된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몬산토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대두, 옥수수, 감자, 유채 등 주요 작물에서 제초제 저항성, 내충성, 내병성 등 유전자 전환작물을 상용화하여 농업 생산비를 절감하고 수량성을 향상시키는 등 기술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으며, 이들 수확물을 수출하거나 또는 종자로 수출하여 농업의 상업화와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는 동시에 지적소유권을 선점하고 그 기술까지 수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유전공학 연구가 어느 정도 수행되어 벼를 비롯한 주요 농작물의 형질 전환 기술이 정립되었고 다양한 소재로부터 개발된 신기능성 형질전환작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은 농가 및 농장에 보급되지 못하고 연구소나 대학 실험포장에 격리 실험을 실시 중에 있다. 또한 기초 연구인 유전체 연구로 국, 공립연구소 및 대학 실험실에서 벼, 배추, 고추 등 일부 작물에서 산발적으로 시작되어 유전자 지도 작성 및 유용 유전자 개발 등 필수적인 연구를 시작하고 있으나 연구비와 인력 부족으로 국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과제는 연구 중에 있는 과제들을 보다 활성화하여 연구결과를 조속히 얻도록 노력해야 하며 새로 시작하는 과제는 연구기관의 능력과 연구 후의 실용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일괄 system 확립을 전제로 하는 협동연구체제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동안 식량작물의 종자개량 및 보급사업은 정부주도로 국공립 연구소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앞으로는 민영화 및 기업화를 촉진하는 정책을 추진하여야 외국의 종자회사 또는 농업 생산자와 경쟁할 수 있는 농기업 체제가 탄생될 것이다. 또한 국공립 연구 기관은 대학 및 개인회사연구소의 농업 연구를 지원하는 Infra system 확충을 목표로 연구 방향을 수정해야 할 것이며 유전 자원 연구, 작물 유전체 연구 등 직접적으로 수익성이 없는 기초적 연구에 치중하여 나라 전체의 연구 수준을 향상시키도록 노력해야 21세기에 농업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Keywords

References

  1. Proceeding of first symposium of plant molecular genetics and breeding T-DNA tagging in rice An GH
  2. Transgenic plants expressing trehalos biosynthetic gene, Reserch trends and prospects of stress related genes (NIAST) Byun MO;Kwon HB;Lee SB;Bae SH
  3. Plant J v.19 Molecular analysis of rice plants harboring an Ac/Ds transposable element mediated gene trapping system Chin HG;Choe MS;Lee SH;Park SH;Koo IC;Kim NY;Lee JJ;Oh BG;Yi GH;Kim SH;Choi HC;Cho MJ;Han CD
  4. Theor. Appl. Genet v.97 Intergration map of AFLP, SSLP, and RFLP markers using a recombinant inbred population of rice (Oryzae savita L.) Cho YG;McChouch SR;Kuiper M;Kang MR;Pot J;Groene JTM;Eun MY
  5. Planning for horticultural crop improvements based in biotechnology application, M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ject report 98-PA-01-18-A Chung TY;Lee SS;Park HG;Lee YS;You CY;Kwang JK
  6. Novel approches in biotechnology: Engineering the chloroplast genome to sinfer biotic stress: Research trends and prospects of stress related genes Daniell H
  7. Molecular genetics and breeding Recent progress of Korea rice genome research program Eun MY
  8. Science v.282 Plants comparitive genetics after 10 years Gale MD;Devos KM
  9. Plants ε Animal Genome Ⅷ conference, SanDiego, CA, USA QLT mapping and maker-assisted selection (MAS) associated with anther culturability in rice Kwon YS;Eun MY;Sohn JK
  10. Proceeding of symposium of overcome food crisis in the 21th century, Korean Jounal of Breeding, korean crop science Bredding strategies to increase production potential of major food crop in Lorea Kim KH;Kim SD;Park HW;Moon HP
  11. Prodeeding of first symposium of plant molecular genetics and breeding Molecular breeding for plant disease resistance, prospects and problems Park HG
  12. Proceeding of the symposium of seed was in the 21th century Seed was in the 21th century and prospect Park HG
  13. Korean J. Bredding v.25 Genetic analysis of callus forma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anther culture of rice Sohn JK;Yang SJ
  14. Genomics Functional Genomics:technologic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physiol Strauberg RL;Austin MJF
  15. Breeding science v.48 Genetic analysis of plant regeneration in anther culture of rice (Oryzae sativa L.) Sugimoto K;Takeoka Y
  16. gened Dev v.9 Patterns of gene action in plant development revealed by enhancer trap and gene trap transposable elements Sundaresan V;Springer P;Vlpe T;Haward S;Johnes JDG;Dean C;Ma H;Martienssen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