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과학 교과서 화학영역의 STS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STS Contents in the General Science Textbooks(Chemistry Parts) of High School

  • 최인영 (부산 동여자 고등학교) ;
  • 김윤희 (경상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
  • 이석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
  • 문성배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 Choi, In Young (Dong Woman High School) ;
  • Kim, Yun Hi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Seok Hee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Moon, Seong Bae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10600

초록

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12종의 검인정 공통과학 교과서 중 화학단원에서 전체 지면중 STS 내용의 포함정도를 알아보고 STS 내용을 단원별, Piel의 주제영역별, 활동영역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에 STS와 관련된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품?있고, 교과서가 교육과정 목표에 어느 정도 부합되는지를 알아보았다. 12종의 공통과학 교과서 화학 영역에서는 STS 교육내용이 교과서 지면의 11.8%에서 33.6%로 평균 24.2%를 차지하고 있었다. STS 내용의 단원별 분포를 보면 현대과학과 가술 단원에 45.5%, 환경단원 38.7%, 에너지단원 29.1%, 물질단원14.0%로 현대과학과 기술단원에 STS에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다. Piel에 따른 교과서별 STS 주제영역을 비교해 본 결과, 7개의 주제영역중에서 환경문제와 천연자원의 이용이 38.3%, 과학이 과학의 사회학이 29.6%, 기술발달의 영향이 23.6%, 에너지가 7.9%, 인간공학이 0.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 그리고 우주개발과 국방에 관련된 주제는 모든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지 않았다. STS 주제를 단원별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에너지는 에너지 단원, 환경문제와 천연자원의 이용은 환경단원에 그리고 기술발달의 영향은 현대과학과 가술단원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었다. 반면, 과학의 사회학은 전 단원에 걸쳐 골고루 포함되어 羚駭? STS 교육내용을 SATIS의 활동영역에 따라 분석해 보면 조사연구와 사례연구가 대부분이었고 현장활동, 역할놀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S contents, emphasized in the 6th curriculum, in the chemistry parts of genera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he STS contents of textbooks showed average of 24.4%. The chapter in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were included 45.5% in STS contents, 38.7% in "environment", 29.1% in energy, and 14.0% in "materials". When the STS contents were analyzed by STS topics of Pi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38.3% on environmental quality and utilization of natural source, 29.6% on effe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7.9% on energy, and 0.6% on human engineering. However, there were no topics on population, space research and national defense. When the STS contents were analyzed by student activities of SATIS, most of the activities were research and case study. There were few field activities of role play,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and research design.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생물교육학회지 v.22 강순자;최명희;이정아
  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5 no.2 김주훈
  3. 시청각교육사 과학교육 김효남
  4.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박승재;
  5.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재천
  6. Petersfield International Counsil of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Yager, R. E.
  7. 새교육 v.91 허명
  8. 한국교육학회지 v.11 no.1 권재술
  9. 한국교육학회지 v.11 no.2 허미경
  10. 한국교육학회지 v.11 no.2 조정일
  11. 한국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기술자회의 하계 심포지움 최병순
  12. 한국과학교육학회 과학교육 공동세미나 및 학술발표회 백성혜
  13. 한국교육학회지 v.13 no.1 장완호;권용주;김영신
  14. 회학교육 v.20 no.4 김도욱
  15. 부산대학교 사대논문집 v.27 최영현;이원호;홍순형
  16. 경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보 v.13 강대호;구인선;양기열
  17.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최선희
  18.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한정륭
  19. 한국교육학회지 v.14 no.2 최경희
  20.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현순
  21.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정아
  22.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선길
  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수이
  24.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도은경
  25.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인희
  26.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수 학습 평가기준 교육부
  27. 대한화학회지 v.43 김윤희;권효진;문성배
  28. Washington D. 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What Research Say to the Science Teacher Piel, E. J.
  29. Educational Leadership v.41 no.4 Yager, R. E.
  30.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v.89 no.2 Yager, R. E.
  31. Science Education v.71 no.5 Bybee, R. E.
  32. NSTA An NSTA Position Statement NSTA
  3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20 no.2 김윤희;문성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