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resistance to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insecticides in Kangwon alpine vegetable croplands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

  • Cho, Jun-Mo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Kyoung-Ju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Song-Mun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an, Dae-Sung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ur, Jang-Hyun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조준모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김경주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김성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한대성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허장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Published : 2001.03.30

Abstract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recently became a single worst insect which is not controlled effectively by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insecticides in Kangwon alpine croplan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diamondback moth has developed a resistance to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insecticides. Resistance of diamondback moth, collected at Keichon, Jangpyong Taebaek, Chunchon, and Hongchon, was determined by the concentration required to kill fifty percent of population, $LC_{50}$. Their response of resistance varied to insecticides and locations: Taebaek populations were 35 and 70 times more resistant to chlorpyrifos and fenitrothion, respectively, than susceptible(S) population. Hongchon populations were 94 and 254 times more resistant to chlorpyrifos and fenitrothion, respectively, than S population. In addition, Chunchon populations were 37 and 19 times more resistant to profenofos and benfuracarb, respectively, than S population. However, the field populations did not differ in resistance to diazinon, phenthoate, flupyrazofos, carbofuran, and furathiocarb. This study show that field populations of diamondback moth found in Kangwon alpine vegetable croplands have developed a resistance and/or multiple resistance to some insecticides, implying that farmers are losing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insecticide options for selective control in vegetable crops.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는 동일한 살충제가 매년 수회씩 연용되고 있으며, 여러 살충제의 혼용살포로도 배추좀나방 방재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에 대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저항성 발달 정도를 구명하는데 있다. 강원도 계촌, 장평, 태백, 춘천, 홍천의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한 배추좀나방을 채집하여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 diazinon, fenitrothion, profenofos, phenthoate, flupyrazofos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인 carbofuran, befuracarb, furathiocrb에 대한 $LC_{50}$을 감수성종과 비교하여 저항성 발달정도를 검정하였다.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216.9 ppm과 589.0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인 6.25 ppm과 비교하여 각각 35배와 94배 높았고, fenitrothion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각각 240.3 ppm과 960.1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3.9 ppm과 비교하여 70배와 254배 높았으며, profenofos에 대한 춘천종의 $LC_{50}$ 39.2 ppm은 감수성종의 $LC_{50}$ 1.1 ppm과 비교하여 37배 높았다. 그러나 diazinon, phenthoate, flupyrazofos에 대한 감수성종과 포장종의 $LC_{50}$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경우 befuracarb에 대해서만 저항성이 나타났는데, befuracarb에 대한 춘천중의 $LC_{50}$은 257.8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13.34 ppm과 비교하여 19배 높았다. 본 실험의 결과는 약제간, 지역간차이는 있었으나 강원도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이 일부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