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山林)의 입지환경인자(立地環境因子)가 표층토양(表層土壤)의 조공극률(組孔隙率)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 (III) - 혼효임(混淆林)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sopore Ratio on the Soil Surface to Investigate the Site Factors in a Forest Stand (II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Mixed Stands -

  • 투고 : 2001.04.30
  • 심사 : 2001.05.31
  • 발행 : 2001.12.30

초록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지표로서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組孔隙率)(pF2.7)에 영향하는 인자를 밝히기 위해 1995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활엽수림 표본조사구를 대상으로 입지, 토양, 임분환경인자 등 총 24종에 대하여 spss/pc+를 이용하여 상관 분석하였다.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B층 토양에서의 조공극률, 하층식생 피복도, 표층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F층 두께 등 4개 인자가 유의한 정(正)의 상관관계를, 표층토양의 견밀도, 10cm 깊이의 토양견밀도가 각각 5%, 1% 수준에서 유의한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tepwise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증대에 영향하는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하는 인자는 B층 토양에서의 조공극률, 유기물함량비 등 2개 인자이었다.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mesopore ratio on a pore geometry of surface soil in mixed stands as an index of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Twenty four factors including site conditions and soil properties were analyzed by spss/pc+ for the data collected from during March to October of 1995.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sopore ratio(pF2.7) on the surface soil were as follows; mesopore ratio(pF2.7) on the B horizon soil, under vegetation coverage, organic matter contents of surface soil and F layer depth. And influencing factor on the ratio of mesopore in the soil surface was correlated with surface soil hardness and depth of 10cm soil hardness shows high negative significance. Also,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for mesopore ratio of the mesopore ratio of B horizon soil and organic matter contents shows high significance($R^2$; 0.84).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