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Characteristics of SCC and AE Signals for Weld HAZ of HT-60 Steel

HT-60강 용접부의 SCC및 AE신호특성에 관한 연구

  • 나의균 (군산대학교 기계공학부) ;
  • 유효선 (전북대학교 기계공학부) ;
  • 김훈 (여수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 Published : 2001.02.28

Abstract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microscopic fracture behaviour of the weldment din stress corrosion cracking(SCC) phenomena, SCC and acoustic emission(AE) tests we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echanical paramenters obtained from SCC and AE tests was investigated. In the case of base metal, much more AE events were produced at -0.5V than at -0.8V because of the dissolution mechanism before the maximum load. Regardless of the applied voltages to the specimens, however, AE events decreased after the maximum load. In the case of weldment, lots of AE events with larger amplitude $range(40{\sim}100dB)$ were produced because of the singularities of weld HAZ in comparision to the base metal and post-weld heat-treated(PWHT) specimens. Numerous and larger cracks for the weldment were observed on the fractured surfaces by SEM examination.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SCC for the weldment appeared most severely in synthetic seawater. Weld HAZ was softened by PWHT which also contributed to the reduced susceptibility to corrosive environment in comparison to the weldment.

인공해수에서 HT-60강 용접부의 응력부식균열(SCC)과 음향방출(AE)신호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CC외 AE실험을 동시에 실시하였으며, 양 실험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모재의 경우, -0.8V에서 보다 긴 파단수명을 보였고, 용해기구 등으로 인하여 -0.8V에 비해 -0.5V에서 AE가 많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시험편에 가해진 전위 값에 관계없이 최대하중 이후의 영역에서 AE 발생 수는 감소하였다. 용접재의 경우, 모재 및 후열처리재와는 달리 용접부의 특이성 때문에 많은 AE 발생과 큰 진폭의 범위$(40{\sim}100dB)$를 나타내었으며 최대하중 이후에도 AE 발생이 활발하였다. 또한, 보다 크고 많은 균열이 파단면에 형성되었음을 SEM관찰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들 결과로부터 용접부는 인공해수에서 SCC현상이 가장 심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열처리는 용접부의 연화를 초래하였고, 용접재에 비해 부식환경에 대한 민감도를 떨어뜨리는 효과를 가져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