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nth Graders' Self-Assessment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in Open Investigation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개방적 탐구에서 과학적 탐구과정기능에 대한 자기평가 수행분석

  • Published : 2001.09.30

Abstract

Understanding the students' ability and tendency of self assessmen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helping their learning and in giving the appropriate feedback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oincidency of the students' self-assessment with the teacher assessment, and the tendency of over and under estimation. The students performed open investigations and assessed their process skills by checking their investigation reports with a given checklist. The total mean of the 'Self-Assessment Capability(SAC)' was 0.73 by 1. The SAC was related to the achievement, not to the gender. The correlation between SAC and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positive(r=0.7, p<.01), and for the girls, the tendency was remarkable. Among the five areas of process skills of open investigation, students got the highest SAC score in the managing and interpreting data area, and the lowest SAC in the drawing conclusion area. The mean of 'Self-Assessment Tendency(SAT)' for all items showed that students overestimated their process skills. While the high achievement students underestimated their process skills, the middle and low showed the tendency of overestimation.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과학적 탐구과정기능에 대한 자기평가를 신뢰롭게 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생의 평가가 교사의 평가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교사에 비해 자신을 얼마나 높게 혹은 낮게 평가하는지 알아보았다. 학생들은 탐구과정 기능에 초점이 맞추어진 점검표를 이용하여 개방적 탐구 후에 작성한 보고서를 자기평가 하였다. 학생의 자기평가와 교사의 평가가 일치하는 정도는 평균 73% 이었다. '자기평가능력'의 남녀간 차이는 없었으나, '성취도'를 기준으로 한 상 중 하 집단의 차이가 있었다. '자기평가능력'은 '성취도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 상관 관계가 더 높았다. 탐구과정기능의 영역 중에서 '자기평가능력'이 높은 영역은 결과정리 및 해석 영역이었고, 가장 낮은 영역은 결론도출영역이었다. '자기평가경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학생들은 평균적으로 교사보다 자신의 능력을 조금 높게 평가하였다. 탐구계획 영역의 항목들과 변인통제 항목은 교사에 비해 자신을 낮게 평가하였고, 결론도출 영역의 항목들은 교사보다 자신을 높게 평가하였다. 상위권 학생들은 교사보다 평가항목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아 자신을 낮게 평가하였고, 특히 하위권 학생들은 평가항목에 대한 기대수준이 교사보다 낮아 자신을 교사보다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Keywords